•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 (A Study of Gokseong Ojiri Site and Blade Tool Culture of Late Upper Paleolithic)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8.06
22P 미리보기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33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이헌종

    초록

    30,000년 전후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돌날석기문화는 돌날석기제작기법과 슴베찌르개라는 지표석기를 중심으로 25,000~20,000년 전 세형돌날문화로 이어져갔다. 한편 이 석기문화는 기존의 후기구석기시대를 개시하였던 자갈돌석기전통의 문화에 영향을 주어 석영제자갈돌로 제작된 중량석기들과 함께 정교한 돌날석기제작기법을 적용하여 종장격지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발굴된 오지리 유적에서는 토양쐐기 상부에 위치한 명갈색찰흙층에서 전형적인 돌날석기군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 석기의 종류는 돌날몸돌, 돌날, 기술격지 뿐 아니라 후기구석기시대 후기에 나타나는 대각선새기개, 소형돌날이나 소형격지상의 새기개류와 홈날석기와 같은 소형석기군이 있다. 특히 양면박리된 유엽형 유경화살촉은 이 시기를 지칭해 주는 중요한 석기이다. 이 유적에서 잰 절대연대 값(AMS)은 진그늘유적과 장흥 신북유적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와 대비하여 젊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유적의 석기군은 그 20~ 15ka로 편년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오지리유적의 석기군은 후기구석기시대의 후기에 세형돌날문화와 병존한 돌날석기문화의 하나로서 편년 상 선후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섬진강 수계에 있는 죽내리유적 4문화층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Blade Tool Culture had been started since 30,000 B.C. and had been continuing to 'Microblade Culture'(25,000 B.C.~20,000 B.C.) centering around blade tool making technique and tanged point in Korea. In addition, this culture had made an effect on the culture of Pebble Tool Tradition which had opened the existed Upper Paleolithic As the result, this Pebble Tool Tradition had been reached to make blade-flake applying an elaborate blade tool making technique with heavy weight tools made of quartz pebbles.
    In Ojiri Site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t was figured out to amount of typical blade stone tools at a light brownish clay layer,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soil wedge. The kinds of stone tools in this site not only contain blade cores, stone blades and technical flake, also contain amount of small tools like notch, burin on the small blade or flake, diagonal burin and small retouched flake tools which had been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Especially, bifacial leaf shaped tanged arrow head is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According to AMS estimated in this site, it turns out that the age of this site is younger than that of Jingnul Site and Jangheung Sinbuk Site. However, the site's tools could be evaluated as data to be able to arrange 20~15ka in a chronological order.
    The tools of Ojiri Site are considered as one of blade stone tool culture which had coexisted with microblade culture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and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cultural layer 4 of Juknaeri Site where is in the same wat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