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설화에 나타난 ‘치마로 돌 운반하기’ 연구 (A Study on “Transporting Stones with Skirts” in Oral Folktal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08
36P 미리보기
구비설화에 나타난 ‘치마로 돌 운반하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6호 / 255 ~ 290페이지
    · 저자명 : 김준희

    초록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서 치마가 지형‧지물의 재료인 돌을 운반하는 도구로 등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적으로 치마는 여성의 옷으로 인식되었으며 치마를 입은 주인공 역시 여성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치마의 의미가 단일하게 형성되지는 않았으리라는 착안에서 출발하였다. ‘치마바위’로 불리는 다양한 설화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 치마로 돌을 운반하는 이야기가 마고할미 등의 여신과 관련되어 주로 거인 신화, 창조 신화의 측면에서 활발히 연구되었음에도 그 창조의 도구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치마로 돌을 운반하는 이야기들은 ‘힘 센 여성 장사가-치마를 사용하여-돌을 운반한다’라는 서사를 전달한다. 여장사가 치마를 사용하는 경우, 그 목적은 땅에 정지해 있었을 돌을 들어올려 이동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치마는 돌을 땅으로 끌어내리는 자연의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여장사의 완력을 행사하는 매개체로써의 도구이다. 아울러 이 치마는 바구니 등 다른 도구와 교환 가능한, 선택 가능한 도구가 된다. 치마의 존재는 여장사가 여성임을 드러내나 반드시 그 도구를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치마가 해어지거나 펼쳐지면서 돌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한 이야기는 여장사의 실수나 한계를 드러낼 수 있으나 자연적 중력에 의한 우연한 창조를 보여준다면 지형‧지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여장사의 완력은 여전히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여장사의 치마는 여전히 다른 운반 도구와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오누이 힘내기>에서 보듯 가부장제와 같은 외부의 지배 질서에 의해 여장사가 운반을 포기하게 될 경우, 여장사가 직면하게 되는 한계는 문제적이다. 이는 치마가 더 이상 바구니와 같은 도구로 교환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여성의 실패를 부각하는 성별화된 복장으로서의 치마의 의미가 부각된다. 자연적 중력을 이기는 완력이 부족하지 않음에도 지배 질서의 개입에 의해 치마를 놓게 될 때 여장사의 완력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편 외적을 방어하기 위해 민중 여인들이 치마로 돌을 운반했다는 ‘행주치마’ 관련 전승에서는 다른 도구와 교환될 수 있는 치마의 의미가 일부 유지된다. 여기서 치마를 통해 행사되는 완력은 평범한 여인들의 힘이 모인 결과로서 집합적 완력의 성격을 띄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skirts in oral folktale as a means of transporting stones, a material used to create topographical features. It has traditionally been assumed that skirts are exclusively associated with woman's clothing, and that characters depicted wearing skirts are, by extension, female. However, this paper challenges that assumption by arguing that the meaning of skirts is not monolith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gaps i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narratives designated as “skirt rocks.” It was observed that the narrative of transporting stones with skirts has been predominantly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giant mythology and creation mythology in relation to goddesses such as Magohalmi.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attention directed towards the tools of creation.
    The narratives of stone-carrying with skirts convey a representation of a strong female character who utilizes her skirt to carry stones. In the case of the woman's use of the skirt, its purpose would have been to lift and move stones that would otherwise remain stationary on the ground. Therefore, the skirt can be considered a tool as medium that enables the exertion of the woman's physical force in opposition to the natural force of gravity, which tends to pull the stones down towards the ground. In addition, the skirt may be regarded as a tool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other items, such as a basket. The utilization of the skirt does not inherently indicate the gender of the individual employing it, nor does it necessitate the use of the skirt rather than other tools. However,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skirt is worn or unfurls, resulting in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stones falling. Such narratives may reveal shortcomings or constraints of the woman, but if they illustrate the inadvertent establishment of natural gravity, interest in topographical features and woman's physical strength remain evident. In such case, a woman's skirt could be exchanged for other transportation tools.
    Nevertheless, as it is seen in Onuihimnagi(the trial between brother and sister) tale when artificial gravitational forces such as patriarchy compel a woman to relinquish the act of carrying, the constraints she encounters are problematic. This indicates that the skirt is no longer interchangeable with tools such as baskets, thereby underscoring the meaning of the skirt as a gendered clothing. Despite retaining the capacity to overcome natural gravity, the strength of the strong woman is no longer approved when the skirts are let down by the intervention of the ruling order. On the other hand, in the “dishcloth skirt” tales, in which common women carried stones with their skirts to defend against foreign enemies, the skirt retains some of the meaning of a skirt that can be exchanged for other tools, but the power exerted through the skirt takes on the character of collective power as a result of the gathering of ordinary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