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의 선도문화 (Korean Sundo(선도) Culture viewing through Dolharbang(돌하르방) in Jeju)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8.08
38P 미리보기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의 선도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5권 / 137 ~ 174페이지
    · 저자명 : 장지국

    초록

    이 연구는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선도의 수행문화를 해
    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돌하르방은 벅수(法首)의 한 갈래이다.
    기록에 의하면 벅수(法首)는 선인의 이름이다. 선도수행을 통하여
    삼진(性․命․精)을 회복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이상을 실현했
    던 선도성인을 ‘선인’이라고 한다. 초기에 벅수(法首)는 선도수행가
    의 수행지표 역할을 하던 조형물이었으나 점차 수행전통이 약화되
    면서 수호신상으로 변천되었다. 수인이 강조되어 나타나 있는 돌하
    르방 가운데 특히 대정현성의 석상은 수행자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이를 한국선도의 삼수행법(止感․調息․禁觸)을 통한 운기수련의
    모습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를 육지의 벅수와 구별되는
    ‘제주도형 벅수’로 정의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interpreting of the Training Culture
    of the Korean Sundo through the Dolharbang of Jeju island in Korea.
    The Korean Sundo was inherited through the three sacred books of
    Cheon Bu Gyoung(天符經), Sam Il Sin Go(三一神誥), and Cham
    Joen Gye Gyoung(參佺戒經). The basic and core thought of Sundo is
    the Sam Won thought, that is to say,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Men. The final goal of Sundo training is the perfection of self and
    the total perfection. These goal had been achieved by means of mate
    rializing of Hongikingan and Yihwasyegyeo. There were three saints(桓
    因, 桓雄, and 檀君) in the center of the Korean Sundo. Three saints
    recovered Sam Jin(三眞; 性,命,精) and materialized Hongikingan and
    Yihwasyegyeo through Sundo training. They were called and believed
    to the supernatural being, Sun In(仙人), and their shape were expressed
    to a statue or Sin Chye(神體) in Dang San(堂山) by the people. Buck
    Su(法首) is the name of Sun In(仙人) as per the record. At the begin
    ning, Buck Su(法首) was a sculpture with a function of the training
    character for Sundo trainees but it was changed to a protecting deity
    of village by means of weakening of training tradition.
    Dolharbang is one of the Buck Su(法首), and there are 45 Dolhar
    bangs in Jeju Island and 2 Dolharbangs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ach Dolharbang is emphasis on fingers. I want to define
    that Dolharbang is ‘Buck Su in Jeju’, because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Buck Su found in main land. There is a image of trainee in 12
    Dae Jeong Hyun Sung Dolharbangs, they show the UnKi trainging(運
    氣修練) of Korean Sundo through the Three Training Methods(三修
    行法; 止感, 調息, and 禁觸). Analyzing of particular in sclupture of
    these three area’s Dolharbang, it seems that they made up in order
    Dae Jeong Hyun Sung, Jeong Eu Hyun Sung and Jeju Eup Sung. The
    feature of sclupture and order of sculpture’s differences show
    the process of weakening of training tradition and the reflection of
    Buck Su from the main land at the same time.
    The training culture of Korean Sundo has been changed or fell off
    in land, but it has been reserved comparably with original form in
    Jeju Island. Dolharbang is one of the important inheritance; which describes
    the training culture of the Korean Sundo through the fingers and shows
    the original character of Buck Su(法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