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우리메돈 도기’로 보는 페르시아 전쟁과 페르시아인: 고전기 아테네에서 남성성과 평화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Eurymedon Vase: Perspectives on the Persian Wars and Persians with a Focus on the Implications for Masculinity and Peace in Classical Athen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11
20P 미리보기
‘에우리메돈 도기’로 보는 페르시아 전쟁과 페르시아인: 고전기 아테네에서 남성성과 평화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23권 / 2호 / 61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혜진

    초록

    본 연구는 <에우리메돈 도기(Eurymedon Vase)>를 통해서 아테네인들이 페르시아인들과 페르시아 전쟁에 관해 지녔던 관점을 성적 담론과 역사적 맥락과 연결 지어 이해하고자 한다. 이 도기화에서 그리스인 ‘에라스테스’와 페르시아인 ‘에로메노스’로 재현된 두 인물은 성적 권력의 구조에서 우월함과 미숙함, 승자와 패자, 남성성의 과도함과 남성성의 부재를 대비함으로써 에우리메돈 전투로 대표되는 기원전 5세기 중반 동지중해에서 아테네와 페르시아의 패권 다툼을 상징적으로 다룬다. 이 도기화에서 그리스인은 능동적인 승리자이지만 성적 통제력을 상실하고 과도한 남성성에 휩싸여 있고, 페르시아인은 수동적이고 감정의 절제에 실패한 패배자로 그려진다. 또한 두 인물은 장기화된 전쟁으로 비롯된 통제 불가와 비이성적 폭력의 상황을 넌지시 드러낸다. 따라서 이 도기화는 종전을 요구하는 사회적 합의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이전에 ‘칼리아스의 평화’를 예견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Athenian perspectives on Persians and the Persian Wars by analyzing the ‘Eurymedon Vase’, linking these views with sexual discourse and historical context. On this vase, the Greek is depicted as an erastes and the Persian as an eromenos, juxtaposing dominance and immaturity, victory and defeat, excessive masculinity and a lack thereof within a sexualized power dynamic. This contrast serves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mid-5th century BCE power struggle between Athens and Persia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exemplified by the Battle of the Eurymedon. The Greek figure is portrayed as an active victor, yet one who has lost sexual restraint and is overwhelmed by excessive masculinity, while the Persian is depicted as a passive, defeated figure unable to control his emotions. Additionally, both figures subtly critique the uncontrollable and irrational violence resulting from prolonged warfare. This vase may serve as a prescient indication of the ‘Peace of Callias,’ reflecting a desire for an end to the conflict even before a formal social consensus for peace had fully emer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