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혼이 ‘하모니아(Harmonia)'라는 심미아스의 가설에 대한 고찰(『파이돈』 91 c6-95 a2) (An Examination on Simmias’ Hypothesis that the Soul is a Harmonia (Phaedo 91 c6-95 a2))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03
28P 미리보기
영혼이 ‘하모니아(Harmonia)'라는 심미아스의 가설에 대한 고찰(『파이돈』 91 c6-95 a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35호 / 91 ~ 118페이지
    · 저자명 : 장경춘

    초록

    플라톤의 『파이돈』(85 e3-86 d4)에서 심미아스는 영혼이 불멸한다는 소크라테스의 논제에 반대하여 영혼이 하모니아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심미아스에 따르면 우리의 신체는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 그리고 마른 것과 젖은 것으로 구성되고, 우리의 영혼은 이러한 것들의 혼합이고 하모니아이다(86 b7-c2). 심미아스의 하모니아는 신체가 죽음에 의하여 분해된다면 영혼이 독자적으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논의를 위한 가정이다.
    심미아스의 영혼이 하모니아라는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이 논문은 먼저 그것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모니아의 의미는 (a) 수리적 비율, (b) 어떤 상태나 (c) 음악으로 해석할 수 있다. 뤼라가 어떤 음악을 만들 수 있는 경우에 하모니아를 지닐 수 있기에, 그것이 그러한 목적이나 기능을 지닌다면 하모니아를 지닌다. 따라서 그것의 올바른 의미는 (b)인 뤼라의 현의 정확한 상태이다. 그리고 나서 이 논문은 플라톤 주석가 사이에서 논쟁이 되는 심미아스의 가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을 검토하고자 한다. 소크라테스는 심미아스의 하모니아를 비판하면서 심미아스로 하여금 두 가지의 논점에 동의하게 한다: 그것은 (1) 영혼에 정도의 차이가 없다는 것(93 b4-6)과 (2) 영혼이 선과 악을 지닌다는 것(93 b8-c8)이다. 소크라테스는 영혼이 하모니아라는 심미아스의 가설로부터 모든 영혼에 정도의 차이가 없기에 모든 영혼이 똑같이 선하여야 한다는 불합리한 결론을 이끌어내고자 의도한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논의의 정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하모니아가 정도의 차이를 지니는지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먼저 하모니아에 정도의 차이가 없다는 J. Burnet과 A. E. Taylor의 해석을 살펴 보고나서 그들의 논의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하모니아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현대적 해석의 관점에서 하모니아 이론의 해석에 있어서 가장 널리 알려진 D. Gallop과 C. C. W. Taylor가 제시한 논의의 타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그들의 논의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하모니아가 영혼이면서 선과 악을 지닐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Phaedo(85 e3-86 d4) against Socrates’ thesis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Simmias puts forward a hypothesis that the soul is a harmonia. Simmias’ soul-harmonia is introduced to the effect that it cannot exist apart when the elements of the body are dissolved by death, since the body is kept in tension and held together by hot and cold, dry and wet, and the like, and the soul is a blending and harmonia of these same things(86 b7-c2). Here Simmias’ harmonia is thought of as a kind of state of a lyre which is incapable of surviving the lyre itself.
    Yet the meaning of Simmias’ concept of the soul as harmonia is controversial. The word ‘harmonia’ is derived from the verb ‘harmozein’ (fit together), which denotes the idea of things being fitted together in an exact arrangement to make an integrated whole, and sometimes means "proportion," particularly in contexts where elements are mingled in proportion.
    First, I examine the meaning of harmonia, which can be interpreted either as (a) ratio, (b) a state, or (c) music. I argue that the harmonia of a lyre means the correct state of the strings of the lyre, that is to say (b). Simmias’ argument is concerned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harmonised state of the lyre. Hence the harmonia of the parts of the lyre is harmonious only if the lyre is capable of performing music; then a mixture of bodily constituents is harmonious only if it is conducive to such purpose.
    Secondly, I discuss Socrates’ refutation of Simmias’ hypothesis in detail which has provoked considerable disagreements among commentators as to its validity. Socrates examines Simmias’ hypothesis by pointing out that the properties of a harmonia are determined by those of its elements(92 e4-93 a2). Socrates then induces Simmias to accept two new points, (1) that the soul does not admit of degrees(93 b4-7), and (2) that the soul is distinguished as good and bad(93 b8-c2). Hence Simmias is forced to admit that virtue is a harmonia and vice is lack of a harmonia; the good soul is a harmonia which is itself containing another harmonia within itself, whereas the vicious soul is not harmonia, in the sense that it contains no harmonia within itself. In fact Socrates argues from the premise that all souls are equally harmoniai to the conclusion that if virtue is a harmonia of the soul, all souls must equally virtuous, and therefore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vicious soul(93 d1- 94 b3).
    Yet the question whether Simmias’ harmonia admits of degrees or not is crucial for Socrates’ refutation of Simmias’ hypothesis. I first examine J. Burnet and A. E. Taylor’s thesis that no harmonia admits of degrees, and disclose their shortcomings. Then I discuss the modern standard interpretation that the nature of harmonia depends on the constituents which compose it. In particular I examine C. C. W. Taylor and D. Gallop’s view that there are two types of harmonia, physical and psychic; the soul is a harmonia of physical elements, whereas virtue and vice are harmoniai of psychic elements. To them then the thesis ‘no harmonia is more or less a harmonia than any other’ does not contradict the thesis ‘some things can have more harmonia than others’.
    Hence Taylor and Gallop claim that every physical harmonia is equally harmonia, no one physical harmonia more or less so than any other. Yet some physical harmoniai participate in psychological harmonia more or less than others, and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arguing that a physical harmonia lacks a psychological harmonia. I reveal the defects of their argument, and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to the effect that the harmonia of each lyre is unique to it, and it admits of degrees when it is played. The rhythm and tone of the lyre’ harmonia when it is played could be thought of as the properties of the soul. Then this interpretation of Simmias’ hypothesis satisfies Socrates’ concept of the soul that it does not admit of degrees while it is distinguished as virtuous and vici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