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기를 통해 획득되는 앎의 정체는 무엇인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What Kind of Knowledge Can One Gain through Recollec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상기를 통해 획득되는 앎의 정체는 무엇인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59권 / 1호 / 55 ~ 84페이지
    · 저자명 : 구교선

    초록

    『파이돈』의 상기 논증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읽히고 또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과연 상기를 통해 얻어지는 앎의 정체가 무엇인가라는 일견 가장 기초적인 물음에조차 학자들 사이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상기란 일상적 수준의 개념을 형성하는 작업이라는 가장 주류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상기를 통해 얻어지는 앎은 소수의 철학자들만이 인식할 수 있는 이데아에 대한 앎이라는 해석을 옹호했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두 해석을 절충하고자 하는 몇몇 시도들이 갖는 한계 또한 짚어 보았다.
    상기의 대상이 이데아라는 해석을 변호하고자 필자는 본고를 통해 다음의 주장들을 펼쳤다. 먼저 이 해석이 옳다면 상기 논증은 모든 인간 영혼의 불멸을 입증하는 논증이 아닌 셈인데, 많은 연구자들의 우려와는 달리 이 점은 영혼 불멸이 논의 주제로 도입된 맥락을 세심히 고려하고 모든 인간 영혼의 불멸을 다양한 방식으로 논하는 다른 논증들이 상기 논증과 함께 제시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전혀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본고가 지지하는 해석 외의 다른 해석을 통해서는 y와 유사한 x에 의해 y를 상기하는 자는 x가 y에 유사성에 있어서 무언가 부족하다는 점을 상기의 과정에서 반드시 떠올린다는 걸 설명할 길이 없다는 사실을 보였다. 또한 필자가 지지하는 해석 외의 다른 해석을 따를 때 74b2-3과 76c1-3의 내용은 충돌할 수밖에 없고, 본고가 변호하는 해석에 근거해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와 각각을 통해 얻어지는 구별되는 두 종류의 앎을 상정해야만 표면적으로 긴장 관계에 있는 두 부분을 조화롭게 읽어 낼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지지하는 노선의 해석이 옳다면 상기 논증은 인간이 태어나기 전에 영혼이 존재한다는 점을 입증할 수 없다는 몇몇 학자들의 비판이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영어초록

    Much ink has been spilled about the Recollection Argument (72e–77a) in Plato’s Phaedo.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among scholars even on what kind of knowledge one can gain through recollection. In light of this, in this paper, I advocate the interpretation that the knowledge that one attains through recollection is the knowledge of the Platonic Form, rather than the knowledge of the mundane concepts of the world of our experience, under which we classify particulars in everyday speech and thought, which is the view endorsed by the majority of commentators. More specifically, first, I maintain that it is unproblematic that Recollection Argument is concerned not with every human soul but with the philosopher’s soul. This is the case, provided that (a) the context of introducing the immortality of human soul and (b) the fact that this argument is offered together with other arguments for this immortality. Moreover, I contend that the claim that when x resembles y, one who recollects y through x must consider whether y is lacking at all in relation to x makes sense only when we accept the interpretation I support. Furthermore, I claim that 74b2–3 coheres with 76c1–3 only when we accept this interpretation and that Plato, in this dialogue,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recollection, which bring about two respective kinds of knowledge. Finally, I rebut some scholars’ insistence that the Recollection Argument is unable to prove the pre-existence of one’s soul before one’s birth if the interpretation I support is corr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