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寶勝如來, 行道僧, 구름 - 敦煌 將來 行脚僧圖 다시 읽기 (Baosheng Buddha, Xingdaoseng, and Clouds: Rereading the Itinerant Monk from Dunhua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寶勝如來, 行道僧, 구름 - 敦煌 將來 行脚僧圖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4호 / 117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혜원

    초록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둔황 장래 <행각승도>의 유형에 해당하는 12점의佛畫가 지닌 도상적 특징을 논한다. 개개 그림이 지닌 세부적 표현과 구성에 주목하여 기존 해석을재검토하는 한편, 이제까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움직이는 모습의 아이콘(icon)’으로서<행각승도>가 지닌 의미를 밀도 있게 논한다. 필자는 <행각승도>에서 가장 주목되는 요소 중하나를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풀어낸 그림에서는 신적인존재들이 다양한 자세를 취하지만, 이처럼 하나의 존재가 한 화면에 단독으로 표현될 경우 서있거나 앉아 있는 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행각승도>에표현된 움직이는 모습의 존상은 특이한 사례이며, 이러한 측면에 대한 고찰은 그림이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본문에서는 우선 기존의 도상 해석을 재검토한다. <행각승도>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이제까지여러 의견이 제시되었다.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중국의 求法僧인 玄奘(602?-664)과의 연관성이지적되었고, 티베트 18나한 중 한 명인 達磨多羅, 變文을 공연하러 이곳저곳을 遊行하는 인물, 李通玄과 같은 역사적 인물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이러한 도상 해석은 <행각승도>와 일부 유사점을지니면서 문헌 자료가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남아 있는 다른 시각적 전통과 동일시하거나 그연관성을 지적하는 것으로, <행각승도>의 다양한 요소를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이는 직접적문헌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 <행각승도>와 같은 시각 자료의 한계라고 할 수 있지만, 역으로생각하면 ‘행각승’을 시각화하는 전통의 기반은 현존 문헌 자료로 판단할 수 있는 것보다 넓었고, 그것이 이통현, 현장, 달마다라 등을 형상화한 그림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둔황 <행각승도>에 적힌 ‘보승여래’라는 佛名에 대해서는 관련 경전, 역사 기록, 둔황 그림에 적힌방제 내용, 방제 구획의 수, 念佛하는 모습의 승려들 등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는 애초에 그림한편에 작게 표현된 부처를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후에 보승여래를 숭배하는 행각승이 그 명칭으로불리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어 <행각승도>가 움직이는 모습의 아이콘으로서 지닌 의미를 ‘걸어가는 모습’과 ‘구름’의문제로 나누어 논한다. 우선 ‘걸어가는 모습’에 대해서는 唐代 ‘行道僧’, ‘行僧’ 전통과의 연관 속에서살펴본다. 『歷代名畫記』, 『唐朝名畫錄』, 『益州名畫錄』에 전하는 唐代 長安, 洛陽, 浙西, 成都 지역사찰의 행승, 행도승 벽화 기록을 龍門石窟 祖師像, 正倉院 佛龕扉의 玄奘像과 같은 시각 자료, 『高僧傳』, 『續高僧傳』에 등장하는 ‘行道’라는 표현과의 연관 속에서 검토한다. 또한 승려들의 전기에언급된 책을 멘 승려, 호랑이와 관련된 승려에 대한 기록도 살펴본다.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고려할 때, ‘행도승’의 ‘행도’는 ‘右繞’의 의미보다는 “佛道를 행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모습을 전달하기 위해 ‘걷는 모습’으로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唐代 행승, 행도승 벽화 중에둔황 <행각승도>과 유사한 요소, 즉 책을 메고 호랑이를 함께 하고 있는 승려도 표현되어 있었을가능성이 크다.
    <행각승도>에서 구름을 타고 이동하는 행각승의 모습은 9-10세기 둔황에 새롭게 등장한 ‘구름을 탄 독립된 아이콘’의 유행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본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둔황 9-10세기로 추정되는 <引路菩薩圖>, <觀音菩薩圖>, <行道天王圖> 등이 있다. 신앙의 비중이나 관련 문헌으로 볼 때, <행각승도>에서 구름이 등장한 것은 신앙이 보다 확고하게 형성되어 있었던 <인로보살도>, <관음보살도>, <행도천왕도>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또한 <행각승도>에 표현된 구름은 아이콘의 이동 방식과 觀者와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보면 <행도천왕도>와 가장 가까운데, 여기에서 구름은 행도승과 행도천왕 모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채용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ico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elve Buddhist paintings that pertain to the Itinerant Monk type from Dunhuang, including a painting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t not only reexamines previous interpretations of the twelve paintings by focusing on their configurations and depictions of details, but also scrutinizes the under-examined meaning of the image of an itinerant monk as an “icon in motion.” I believe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Itinerant Monk is its depiction of a figure in the process of moving. In Buddhist narrative paintings, deities are portrayed in diverse poses, but paintings of a single deity commonly present a figure either standing or seated. In this sense, Itinerant Monk depicting a figure in motion are unusual. A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of movement is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underlying the image.
    The article begins with a reassessment of iconographic interpretations of the Itinerant Monk in previous scholarship. There is a divergence of opinion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figure in Itinerant Monk. It has been identified as Xuanzang (玄奘, 602?–664), the renowned Chinese monk and pilgrim; Dharmatrāta (達磨多羅), one of the eighteen arhats from Tibet; an itinerant storyteller who performed transformation texts (變文); or the historical figure Li Tongxuan (李通玄). These interpretations all draw on other visual traditions that bear some similarity with the Itinerant Monk image and have relatively abundant related materials. However, they fail to thoroughly explicate diverse elements of Itinerant Monk paintings. This reveals the limitations of images, including Itinerant Monk, with no immediate textual sources. To put it another way, it is possible that the painting tradition of an itinerant monk was more prevalent than we can decode from surviving literature, and it was utilized for a variety of imageries that depict Li Tongxuan, Xuanzang, or Dharmatrāta. The article also analyzes the inscription that reads ‘Baosheng Buddha (Ratnasambhava)’ on the paintings of Itinerant Monk by examining related sutras, historical records, inscriptions on Dunhuang murals, and images of monks reciting Buddha’s name. I conclude that Baosheng Buddha originally refers to a small Buddha figure in the painting, but the itinerant monk worshipping Baosheng Buddha is presumed to have eventually been referred to as such.
    The article furth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Itinerant Monk image as an icon in motion by focusing on the figure’s pose of walking and riding on a cloud. First, the figure depicted walking is correlated with the tradition of a ‘xingdaoseng’ (行道僧), or ‘xingseng’ (行僧) from the Tang Dynasty. Lidai minghua ji (歷代名畫記, Records of Famous Paintings Through the Ages), Tangchao minghua lu (唐朝名畫錄, Records of Famous Paintings of the Tang Dynasty), and Yizhou minghua lu (益州名畫錄, Records of Famous Paintings of Yizhou) document Tang murals of ‘xingdaoseng’ or ‘xingseng’ inside temples in Changan, Luoyang, West Zhejiang, and Chengdu. I scrutinize these records in association with visual materials such as relief sculpture of monks in Longmen Grottoes and the image of Xuanzang on a portable Buddhist shrine at Shōsōin, as well as the connotation of the word ‘xingdao’ (行道) that often appeared in Gaoseng zhuan (高僧傳,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and Xu gaoseng zhuan (續高僧傳, Continued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Moreover, I investigate the records of monks carrying books or monks related to tigers through the biographies of monk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ll these materials indicates that the ‘xingdao’ in ‘xingdaoseng’ refers to practicing Buddhist teachings (佛道) rather than circumambul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右繞), and it is why the monk in the painting is depicted walking.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ang murals mentioned above may have included images of monks carrying books and accompanied by a tiger, as seen in the Dunhuang paintings of Itinerant Monk.
    The monk riding on the cloud in Itinerant Monk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popularity of a single, independent icon on a cloud that newly emerged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in Dunhuang. For example, there are Dunhuang paintings of Bodhisattva Guiding Souls, Avalokiteśvara, and Vaiśravana produced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The inclusion of the cloud in the Itinerant Monk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se paintings of Bodhisattva Guiding Souls, Avalokiteśvara, and Vaiśravana, whose worship was firmly established. The cloud in the Itinerant Monk is most similar to that in paintings of Vaiśravana, which is regarded to be the depictions of Xingdao Tianwang (行道天王), in terms of the means of moving of the deities and their relation to the viewer. In both paintings, clouds were employed as a means to effectively illustrate that a monk practicing Buddhist doctrines and the Heavenly King travel around to save all sentient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