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충청도 平薪屯의 설치와 경영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ungcheong-do Pyeongsindun in the late Jos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12
32P 미리보기
조선후기 충청도 平薪屯의 설치와 경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37호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서태원

    초록

    평신둔은 조선후기 충청도 옛 서산군 대산목장·태안군 이원목장·면천군 창택목장에 위치한 군영둔토로써, 장용영 재정과 평신진 수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 등을 목표로 1794년(정조 24) 설치되었다. 먼저 평신둔의 세미와 둔아병의 신미가 장용영 재정으로 활용되었는데, 1796년의 경우 세미는 700여 석이고 신미는 140석이었다. 특히 둔아병 350명은 장용영외영에 소속되어 유사시 수원유수부의 방어에 참여하게 하였다. 다음으로평신진이 관리하던 목장을 폐지하고 평신둔을 설치한 것은, 수군을 겸임한평신진 목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면서 수군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그러한 사실은 평신둔이 설치되기 직전 목장민의 호적을 해당 고을로부터 분리하여 평신진에 소속시킴으로써, 고을의 관리가 목장의 민을 침탈하는 것을 방지하려 한 데에서도 잘 나타난다.
    평신둔의 구조는 1795년 평신진 수군첨절제사 김취명이 작성한 『충청도평신둔양안』에 잘 반영되어 있다. 평신둔이 설치된 3목장의 절모관둔사위진기전답의 합계는 754결 10부 7속으로, 기전답은 386결 53부 6속 그리고 진전답은 367결 57부 1속이었다. 전답 중에서 절은 절수를 그리고 모는 국가의 허락이 없이 몰래 진전·화전 등을 경작하다가 발각된 토지에게 붙여진 명칭으로 여겨진다. 때문에 절수답은 민결의 미 23두와 유사하게 미 22두를 징수하였고, 모경답은 미 66두를 징수하는 차등을 보였다.
    평신둔 경영과 관련하여 도조·토지소유권 등을 둘러싸고 둔민과 정부의갈등이 야기되었다. 먼저 평신둔이 장용영에 소속된 후 모경과 절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1결에 45두를 내도록 하자, 세금을 더 내야하는 절수답 경작자들의 불만이 제기되었다. 절수답을 경작하는 둔민은 절수답은 사전이라며세금이 증액된 것에 불만을 표출한 반면, 정부는 평신둔은 목장둔이었을 때와 군영둔일 때를 막론하고 공전이므로 45두의 세는 목장 시절에 비해 크게낮은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다음으로 1900년(광무 4) 내장원이 평신둔은 공토이므로 탁지부에 결세를 그리고 내장원에 도조를 납부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도조를 징수하려 하자, 둔민은 평신둔은 사토이므로 일토양세는 잘못된것이라며 결세만 납부하려 함으로써 내장원과 둔민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한편 수세권을 둘러싼 다툼이 1898년 선희궁과 지방대 및 탁지부 사이에발생하였다.

    영어초록

    Pyeongsindun (平薪屯) is Gunyoung-Dunto located in Daesan Stock Farm in the former Seosan-gun, Iwon Stock Farm in Taean-gun and Changtaek Stock Farm in Myeongcheon-gun, and was established in 1794 (the 2nd year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fter removing such stock farms aiming at steadily securing Jangyongyoung (壯勇營)’s finance, the naval force of Pyeongsinjin (平薪鎭), etc. First of all, Semi (稅米) of Pyeongsindun and Sinmi (身米) of Dunabyeong (屯牙兵) were utilized as Jangyongyoung’s finance, and, in case of 1796, Semi was more than 700 seok (石)and Simmi was 140 seok. Especially, 350 soldiers of Dunabyeong, which belonged to Jangyongyoung’s external barrack, was designed to participate in the defence of Suwon Yusubu. Next, the reason that the stock farm managed by Pyeongsinjin was abolished and Pyeongsindun was established was to effectively secure the naval force by relieving difficulty of shepherds of Pyeongsinjin who also played a role as the naval force. Such a fact is also well revealed in the attempt to prevent officials of the village from disseising the people of the stock farm by separating the family register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stock farm before Pyeongsindun was established, from the relevant village and by having it belong to Pyeonsinjin.
    The structure of Pyeongsindun was well reflected in Chungcheong-do Pyeongsindun Yangan prepared by Kimchwimyeong, Pyeongsinjin Sugun-Cheomjeoljesa (水軍僉節制使) in 1795. The total of Jeolmogwandunsawijingijeondab (折冒官屯寺位陳起田畓) of three stock farms where Pyeongsindun was established was 754 Kyul 10 Bu 7 Sok,that of Gijeondab (起田畓) was 386 Kyul 53 Bu 6 Sok and that of Jinjeondab (陳田畓) was 367 Kyul 57 Bu 1 Sok. Jeol among paddy fields is considered as the name given to Jeolsu and Mo as the name given to Jinjeon (陳田).Hwajeon (火田), etc.
    discovered during its secretly being cultivated without approval of the nation. So, in case of Jeolsu paddy field, tax as similar as that on Kimkyul 23 du was collected and Mogyeong paddy field, rice 66 du was discriminatively collected.
    In relation to Pyeongsindun management and involving rent land ownership, discord between Dunmin and the government caused. First, when the government requested people to pay 45 du per Modu 1 Kyul without discriminating Mogyeong from Jeolsu,the people who cultivate Jeolsu paddy field and thus had to pay a more tax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in 1802 (King Sunjo the 2nd year). Dunmin who cultivated Jeolsu paddy field was dissatisfied with the increased tax maintaining that Jeolsu paddy field was a private paddy field, while the government asserted that Pyeonsindun, regardless of when it was Mokjangdun and Youngdun, was a public paddy field, so the tax of 45du was much lower compared with the time when a stock farm was cultivated. Next,when Najangwon attempted to collect farm rent in 1900 (Gwangmu the 4th year)saying that Pyeongsindun was a public land, and thus people should naturally pay Kyulse to Takjibu and farm rent to Najangwon. Dunmin, maintaining that Pyeongsindun is a private land, so to impose two taxes on one land was wrong,wanted to pay only Kyulse, so that discord between Najangwon and Dunmin occurred.
    Meanwhile, disputes involving the right to collect tax occurred among Seonhuigung,Jibangdae and Takjibu in 189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