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 român 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고고 독어휘 Walhos 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n Etymological Research on the Romanian Vocabulary ROMÂN - with reference to the Old Germanic WALHOS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10
21P 미리보기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 român 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고고 독어휘 Walhos 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25권 / 103 ~ 123페이지
    · 저자명 : 이문수

    초록

    고대 로마인은 스스로를 Roma 라는 지명에서 파생된 어휘인 romanus 라고 지칭하였다. 오늘날 로망스어권에서 이 어휘를 계승하여 자국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루마니아가 유일하다. 현대 루마니아어에서는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로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 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루마니아의 국호 România 를 비롯하여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등과 같은 다양한 파생어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 때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 일대가 고대 로마제국의 식민지였었던 관계로 이 지역에 로마문화와 라틴어가 보급됐었지만 현재는 이미 사어가 된 달마티아어를 제외하면 루마니아어가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발칸 로망스어이다. 하지만 고대 로마인들이 A.D. 271년 오늘날 루마니아 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으로부터 철수한 이후 상당기간동안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이 부재하였으므로 루마니아인의 고대 역사가 오랜 기간 공백으로 남아있다. 이런 역사기록상의 침묵을 깨고 루마니아인이 유럽역사에서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중세 때 소위 ‘블라흐족’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 시작하면서다.
    현존하고 있는 문헌상에서 루마니아어휘 român 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581년에 출판된 오러슈티에의 구약성서(Palia de la Orăştie)에서 român 이라고 언급되면서부터이다. 비슷한 시기인 16세기 후반에 루마니아의 코레시(Coresi)에 의해 출판된 사도행전(Apostol)에 비록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rumân 이란 어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어휘가 다코루마니아어의 român(또는 rumân), 아루마니아어의 armân, arămân(또는 aromân), 메글레노루마니아어의 rumon,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rumăr(또는 rumër) 등과 같이 소위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 모두에서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방언들이 분리되기 이전 단계인 루마니아어의 공통조어에서 이미 사용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루마니아인들의 문자사용 시기가 13세기 말경에서 14세기 초반으로서 비교적 늦은 편인데다 그마저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문자가 키릴문자이었기 때문에 중세 때 발칸지역 일대의 민족들은 루마니아인을 가리킬 때 고고 독어인 Walhos, Walha 등으로부터 유래된 어휘를 각 민족마다의 고유한 발음습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인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등과 같이 사용한 반면 루마니아인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일찌감치 라틴어휘 romanus, romani(<단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i, rumâni 등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의 국호를 România, Ţara românească 등으로 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은 발칸지역 일대의 다사다난한 지정학적인 여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주거지를 옮겨 다녀야만 했던 상황에서도 로마제국의 명성으로부터 오로지 언어만을 보존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인들로 하여금 유구한 역사를 통한 각종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고 루마니아어가 오늘날까지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alogical linguistic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Romanian is one of Itallic branch of Indo-European, namely Romance Languages, such as Italian, Franch, Spanish and Portuguese. Nowadays it is only Romania in the world that uses for the people of a country the word derived directly from Latin romanus , namely român. Besides the word român in Romanian exist a lot of derivatives from Latin romanus, for example, România,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etc.
    Given the abse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Roman army from the province Dacia in 271, no Romanian population north of the Danube was mentioned for almost 1,000 years, until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when Vlachs were first recorded there.
    The word român first appeared in Romanian in the Old Textament from Orăştie in the year 1581. In the almost same time appeared the word rumâ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published by the Romanian Deacon Coresi, even though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However, judging from that this word is preserved in all four Romanian varieties in a wider sense, for example, român(or rumân) in Daco-Romani an, armân(or arămân) in Aromanian, rumon in Megleno-Romanian and rumăr(or rumër) in Istro-Romanian, we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word was widely used in the Common Romanian language, namely in Old Romanian before the split of four Romanian varieties.
    While the peoples of the Balkan area described the Romance population including the ancestor of the Romanians in medieval time, according to the manner of their articulation and pronunciation, with the words borrowed from Old Germanic Walhos such as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respectively, the Romanians have called themselves with the word derived from Latin romanus as români and their country as România or Ţara românească etc.
    We may now conclude that the ancestor of Romanian people who had been Romance population of the Balkan peninsular were able to preserve the language of Roman Empire even though they have begun to use the Cyrillic writing system from the end of 13th cuntury for the first time. It would be the reason that they can today survive as the unique Romance populatio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is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