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성찰과 성장의 은유로서의 독서치료 텍스트: 윤이형 단편소설 「쿤의 여행」 (Bibliotherapy Text as a Metaphor of Self-Reflection and Growth - Yun Yi-hyung’s Short Story Kun’s Journey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06
20P 미리보기
자기성찰과 성장의 은유로서의 독서치료 텍스트: 윤이형 단편소설 「쿤의 여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치료연구 / 16권 / 2호 / 91 ~ 110페이지
    · 저자명 : 박진

    초록

    이 연구는 윤이형 단편소설 「쿤의 여행」이 지닌 치유적 잠재력과 독서치료적 함의를 살피고, 이 텍스트를 독서치료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쿤의 여행」은 자기 몸과 감정으로부터 소외된 주인공이 치유와 성장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이 과정은 ‘쿤’에게 업힌 채 살아온 주인공이 ‘쿤’을 떼어낸 뒤 어른으로 자라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서사화된다. 이런 은유적 내러티브는 다양한 독자가 개인적 경험을 투영하며 자신의 의미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윤이형의 「쿤의 여행」은 또한 자기소외를 벗어나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해 우리에게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은유적으로 일깨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으로 Ⅱ장에서는 카렌 호나이와 칼 로저스의 이론을 적용해 「쿤의 여행」의 내러티브를 심리학적으로 해석하고, 그 독서치료적 의의를 검토한다. 한편 주인공의 모색은 어른으로 자라는 일에 대한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과도 맞물려 있다. 그들의 서로 다른 발화는 주인공에게 ‘내적인 대화’의 성격을 띠는데, 주인공의 자기탐색은 이 여러 목소리들에 대한 대화적 응답으로 나타난다. 이 글의 Ⅲ장에서는 바흐친의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주인공의 자기성찰이 지닌 대화적 성격을 살펴보고, 우리 각자가 자기 자신으로 성장해가는 삶의 여정에 대화적으로 참여하는 상호작용적 독서치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본다. 이어서 「쿤의 여행」을 성인 대상의 발달적 독서치료 텍스트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상호작용적 독서치료의 대화적 함의를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healing potential and bibliotherapeutic meanings of Yun Yi-hyung’s short story Kun’s Journey and seeks the way to apply this text in bibliotherapy. Kun’s Journey describes the journey to healing and growth of the main character, who is alienated from her body and emotions. This process consists of a metaphorical story: the main character, who has been hanging onto Kun’s back, finds a way to grow up as an adult. This metaphorical narrative helps various readers build their own meaning by project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Furthermore, Kun’s Journey can play the metaphorically enlightening role of the effort required to become the real self by escaping alienation from the self. From this perspective, Section II psychologically interprets the narrative of Kun’s Journey by applying the theories of Karen Horney and Carl R. Rogers and examines the bibliotherapeutic significance. However, the main character’s search is also intertwined with the process of listening to the speeches of various characters regarding growing up as an adult. Their various speeches become her internal dialogues. Accordingly, her self-exploration appears as dialogic replies to these various voices. Section III examines the dialogic nature of her self-reflection based on Mikhail Bakhtin’s discuss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dialogical participation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in the journey of growing into ourselves. Moreover, this essay proposes the use of Kun’s Journey as a developmental bibliotherapy text for adults and discusses how to realize the dialogic implications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to its fullest pot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