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호 윤휴의 <주례> 이해와 정치관 ― 「독주례(讀周禮)」와 「만필(漫筆)」을 중심으로 (Baekho Yoon Hyu’s understanding on Zhouli and his political view)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8
24P 미리보기
백호 윤휴의 &lt;주례&gt; 이해와 정치관 ― 「독주례(讀周禮)」와 「만필(漫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7호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인규

    초록

    이 논문은 <백호 윤휴의 『주례』 이해와 그의 정치관>을 「독주례(讀周禮)」와 「만필(漫筆)」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디시피 백호(白湖) 윤휴(尹鑴)는 17세기 서인(西人)과 남인(南人) 사이의 1, 2차 예송논쟁(禮訟論爭)의 한 가운데 있었던 인물로, 서인들이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입각하여 예제를 설정하려는 데 반해, 그는 고례(古禮)를 바탕으로 조선 사회의 예적(禮的) 질서를 회복시키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특히 윤휴는 17세기 예송논쟁의 와중에서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며, 개혁의 모델을 『주례』로부터 새로운 이념과 제도의 원형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술된 것이 「독주례」이다. 그는 『주례』를 구직(九職), 십윤(十倫), 육경(六卿), 삼공(三公), 삼고(三孤), 십오례(十五禮), 삼십육관(三十六官)으로 이해하고, 『주례』에서 제시하는 군주정치의 핵심을 군왕(郡王)의 ‘수덕(修德)’과 ‘수도(修道)’를 근본으로 한 완비된 제도(制度)에 있었다고 보았다. 아울러 「만필」에서 삼대(三代) 정치의 대요를 건방(建邦), 설관(設官), 분민(分民), 경야(經野), 명형(明刑), 제군(制軍)으로 보았으며, 『주례』의 이념에 입각한 과거제(科擧制)보다는 추천제(推薦制)에 의한 인재선발, 재상정치의 부활, 관직의 재정비를 통한 요⋅순(堯舜) 삼대의 정치를 회복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즉, 「독주례」는 윤휴가 『주례』를 이해한 독서기라면, 「만필」은 『주례』 이념을 구체적으로 현실 정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시론(試論)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Baekho Yoon Hyu’s understanding on Zhouli and his political view> focusing on Dokjurye (讀周禮) and Manpil (漫筆). As is generally known, Baekho Yoon Hyu is a figure at the center of the 1st and 2nd Ritual Controversy between Seoin and Namin in 17th century and he attempted to recover ritual (禮的) order of Joseon society based on old manners (古禮) while Seoin intended to establish rites based on Zhuxi's Family Rituals. Yoon Hyu made special efforts to reform Joseon society even during the 17th-century Ritual Controversy and to find new ideology and prototype of system for the reform model from Zhouli. Dokjurye was written in this perspective. He understood Zhouli as nine occupations (九職), ten ethics (十倫), six ministers (六卿), three First Lords (三公), three liege men (三孤), fifteen proprieties (十五禮) and thirty six government positions (三十六官) and thought that a system was complete with the core of monarchy presented by Zhouli based on king’s ‘cultivating virtue (修德)’ and ‘cultivating morality (修道).’ In addition, he regarded establishing a state (建邦), giving government positions (設官), distinguishing people (分民), organizing land (經野), systematizing punishment (明刑) and building army (制軍) as the substance of politics of Three Dynasties (三代) on Manpil and he tried to recover politics of Three Dynasties with Yao and Shun through talents selection by recommendation, revival of politics by prime minister and reorganizing government positions rather than Imperial examination based on ideology of Zhouli. In other word, Dokjurye is a book report on Yoon Hyu’s understanding of Zhouli and Manpil is an essay on how to concretely apply Zhouli ideology to real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