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시기 동서독 발트해 해상경계선 연구 : 열린 바다와 닫힌 바다 (A Study on the East-West German Baltic Sea Border during the Cold War : The open Sea versus the closed S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냉전시기 동서독 발트해 해상경계선 연구 : 열린 바다와 닫힌 바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 23호 / 295 ~ 326페이지
    · 저자명 : 정태흥, 정진성

    초록

    190년 통독 이후 동독 독재정부의 과거청산 작업과 함께 베를린장벽과 동서독 육상경계선을 넘어 자유를 찾으려는 사람들 및 희생자들에 대한 연구는 독일 공적담론의 통합적인 주제가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동독인들의 발트해를 통한 월경시도와 함께 해안경계선을 지키려던 동독정부와 국경수비대의 활동에 대하여는 학계와언론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동독의 발트해는 일반일들에게는 접근할 수 없는 닫힌 바다였으며, 정부와 국경수비대에게는 사회주의를 지켜야 하는 이념의 공간이었다. 수천여 명의 동독인들이 기발한 아이디어로 발트해를 넘어 탈동독을 시도를 하였으나 거의 대부분은 해안가에서 혹은 바다에서 국경수비대에 의하여 체포되었고 ‘공화국 배신자’들로 낙인이 찍혀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소외되었으며 배척을 당했다.
    본 연구는 발트해 연안의 동서독 경계선에 대한 양면적인 구동독정부의 정책에 의하여 해상의 보이지 않은 경계선이 어떻게 당시 동독주민들과 주변국 및 서독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냉전시기에 동독인들에게는 삶과 죽음이 집결되는 공간으로서의 발트해를 이해하기 위하여 첫째, 동-서독 분리에 대한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동독 정부의 육지와 해상경계선의 보안정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대외적으로는 주변 국가들에게 발트해를 ‘평화의 바다’, 그리고 ‘열린 바다’로 선전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자국민들을 발트해로부터 철처히 격리시켰던 동독정부의 정책을 살펴보았다. 셋째, 동서독 발트해 접경지역의 상반된 경제개발 실태를 추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독의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공화국탈출 Republikflucht을 방지하기위하여 투입된 국경수비대와 인민경찰, 슈타지, 그리고 주민 자원봉사자들의 활약을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At this point of the 30th aniversary of German reunifcation, East Germany (GDR, German Democratic Republic) does not exist as a state or system anymore.
    From 1947 to 1989, residents of the GDR were opresed again after the Second World War, now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East German Unifcation Socialist Party (SED).
    From 1945 to 190, 4.6 milion people crosed the border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East Germany) to the German Federal Republic (West Germany), and as many as 250,00 were arested for politcal reasons.
    Thousands of East Germans atempted to cros the Baltic Sea and most of them were arested by border guards on the coast or on the way acros the Baltic Sea. Although the maritme border along the Baltic Sea was a historic space marked by the Cold War, there were not many traces left by the East German government, which wanted to destroy al evidences of the past since the reunifcation of 190.
    The article loked at the contradictory meaning to the East German government and residents regarding the Baltic Sea. It introduced also the activites of the 6 th Border Guard Unit which monitored the maritme border of the Baltic Sea, suported by the East German People's Navy(Volksmarine),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Statsicherheitsdienst STASI), Police (Volkspolizei) and volunters including the residents.
    The huge number of these actors compared to the few number of people seking fredom through the Baltic Sea showed how sensitve the East German government was at the time to maintain their socialistic system. Memories and ilogical daily events of the people living on the East German coastline promote a special analysis of the history betwen East and West Germa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항도시문화교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