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한 번역세미나 교과 설계 – 비교과 교수경험을 토대로 한 소고 (Entwurf einer Lehrveranstaltung: Deutsch-koreanisches Übersetzungsseminar - Bemerkungen auf der Grundlage aktueller Lehrerfahrunge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9
26P 미리보기
독-한 번역세미나 교과 설계 – 비교과 교수경험을 토대로 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3권 / 3호 / 171 ~ 196페이지
    · 저자명 : 김남희

    초록

    독일어 및 문학 강의의 내용과 방식 중 원서 강독 및 독해 위주의 강의는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독일어 원문을 읽으며 간접적으로는 문법 및 어휘 구조를 익히도록 한 것이다. 2000년대 전 후로 번역 관련 강의가 독어독문학 관련 다수 학과에서 제공되기 시작했다. 독해 위주의 수업은 해석한 내용을 구어로 전달하는 반면, 번역문을 완성해야하는 번역 수업에서는 출발어 텍스트를 번역해서 옮겨야 하므로 이런 과정에서 학생들은 원문텍스트를 더욱 긴밀히 읽는 훈련을 한다. 도착어텍스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두 언어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성찰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2021년 하반기에서 2022년 상반기까지 약 일년에 걸쳐 진행된 비교과방식 ‘번역세미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세미나는 포괄적이면서 구체적인 읽기, 원문텍스트에 근거한 창의적인 글쓰기, 언어 차이를 인지하고 성찰하기, 참여자들간 서로 다른 번역안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하기 등의 복합적인 활동을 진작하였다. 텍스트 선정에서 최종 텍스트 제출까지 모든 과정에서 학생들은 주체가 되어 번역과정 및 결과물의 비교, 분석 등 논의 과정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번역을 타인의 목소리와 시선으로 다시 듣고, 읽으며 타인의 번역과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어려움과 문제를 인지하여 특정하고, 범주화 하며, 유사한 문제에 대해 자신만의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훈련하였다. 교수자의 역할은 단지 길잡이 정도였다. 번역세미나를 현실화하는데 예상되는 어려움–학생 확보 및 다양한 배경의 학생을 수강생으로 인정, 세미나 수강 학점의 상향 조정 등–을 극복하거나 우회하여 실제 교과과정에 편입이 가능해지면, 교과 과정내 번역세미나의 특성 및 이점에 관한 별도의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Zu den Inhalten und Methoden des Deutsch- und Literaturunterrichts in Korea gehören nach wie vor Vorlesungen, die an die Lektüre der Werke in der Sprache des Originals anknüpfen bzw. zu dieser befähigen sollen. Durch das Lesen des deutschen Originaltextes erwerben die Studenten dabei vertiefte Kenntnisse des Wortschatzes und der grammatischen Strukturen. Seit den 2000er Jahren wurden in den Studiengängen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aber auch zunehmend Übersetzungskurse als Lehrveranstaltungen angeboten. Die für die Studentinnen und Studenten mit solchen Kursen einhergehende Herausforderung, den Zieltext in ihrer Muttersprache schriftlich zu fixieren, intensiviert, wie sich zeigt, auch ihre Auseinandersetzung mit dem deutschen Ausgangstext: morphologische und syntaktische Merkmale der beiden Sprachen werden unmittelbar verglichen und reflektiert. Im vorliegenden Beitrag soll nun die konkrete Lehrerfahrung aus einem extensiven, sich über ein volles akademisches Jahr erstreckenden Übersetzungsseminar vorgestellt werden. Dieses fand zunächst außercurricular statt. Es war fächerübergreifend angelegt und stand Interessenten auch unabhängig davon offen, in welchem Semester ihres Studiums sie sich befanden. Mit dem Lehrangebot verband sich zugleich die Intention, es künftig fest in den Lehrplan einzubinden. Bei Konzeption und Gestaltung wurde dies entsprechend berücksichtigt. Besonders gefördert wurde in dem Seminar das autonome und souveräne translatorische Handeln der Studentinnen und Studenten: von der Textauswahl über die gemeinsame, diskursive Textanalyse bis hin zur Reformulierung des Ausgangstexts in einem veränderten kulturellen Rahmen. Wiederkehrende translatorische Phänomene wurden begrifflich in verallgemeinernden Kategorien gebündelt, Techniken des Kreativen Schreibens spielerisch erprobt und gegebenenfalls für den Übersetzungsprozess tragfähig gemacht. Auch die Moderation der einzelnen Sitzungen des Seminars lag bei den Teilnehmerinnen und Teilnehmern, während die Lehrende nur den fachlichen Rahmen vorgab und die wissenschaftliche Fokussierung gewährleistete. Ungeachtet der zu verzeichnenden Erfolge und positiven Erfahrungen sind aber noch Schwierigkeiten bei der Integration des konkreten Seminars in das reguläre Curriculum zu erwarten. Diese ergeben sich zunächst aus der formal erforderlichen Mindestteilnehmerzahl (7 bis 12 Personen bei einem Sprachniveau von mindestens A2 und/oder höher als B1) in Verbindung mit dem vorauszusetzenden Interesse am literarischen Übersetzen. Zudem ist der Veranstaltungstyp „Seminar“, wie er in Deutschland bekannt ist, in dieser Form in der universitären Bildung auf BA-Ebene in Korea relativ wenig verbreitet. Für die meisten Lehrveranstaltungen werden 3 Kreditpunkte vergeben. Für ein Seminar könnte aber aufgrund der höheren Arbeitsintensität, die dieses Format mit sich bringt (Lektüreaufwand, Erstellung von Übersetzungen, Niederschrift eines Protokolls, Verfassen einer Seminararbeit, Beteiligung an den fachlichen Diskussionen) eine vermehrte Zahl von Kreditpunkten vorgesehen werden. Auch eine flexiblere Organisation des Punktesystems würde die längerfristige Etablierung des skizzierten Veranstaltungstyps entscheidend begünstigen. Gleiches gilt schließlich für die Bereitschaft, Studierenden unabhängig vom gewählten Hauptfach bzw. ihrem jeweiligen Status (BA-, MA- oder Promotionsstudenten) die Teilnahme an einem solchen Seminar im Rahmen der regulären Studienordnung zu ermöglich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