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달앱의 독과점과 정부의 대응: 공공가치론 관점에서 (Monopoly of Delivery Apps and Government Response: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Value Theo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9
23P 미리보기
배달앱의 독과점과 정부의 대응: 공공가치론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책과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26권 / 3호 / 109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명환

    초록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매출 급락과 기존 배달앱 시장 독점 및 가맹점 고액 수수료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 2019년 군산의 배달의명수를 필두로 2020년부터 지방자치단체들이 공익을 내세우면서 민간 배달앱과 경쟁하기 위해 공공 배달앱을 도입해왔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공공가치론 관점에서 공공 배달앱의 정당성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이 논문은 거래 플랫폼으로서의 배달앱의 구조와 속성을 양면 시장, 네트워크 효과와 가격 책정, 승자독식 게임과 플랫폼에의 종속화 등 세 가지 측면에 논의하였다. 이어서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배달앱 도입 배경을 배달의민족의 독과점 논란과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공공 배달앱의 성격을 민간 배달앱의 경쟁자로 규정하고 20222년 7월 기준으로 공공 배달앱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논의와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Moore의 공공가치 개념과 정부개입의 정당성 논의를 토대로 공공 배달앱의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영어초록

    As the sharp drop in sales of small businesses due to COVID-19, the monopoly of the existing delivery app market, and high fees for franchisees emerged as social problems, starting from ‘The Master of Delivery masters in Gunsan in 2019,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public delivery apps. in the name of public interest for compete against the private deliver platforms such as Baemin. If so, how should we view this?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justification for the public delivery app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value theory. To this end, the paper first discusses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delivery apps as a trading platform in three aspects: a two-sided market, network effects and pricing, and a winner-take-all game and subordination to the platform. Next, it explain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public delivery apps by local governments as the monopoly controversy issued and the fee system of Baemin. It analyzes the operating status of public delivery apps on a monthly basis. Based on these discussions and analyzes, the paper gives the legitimacy of public delivery apps based on Moore’s concept of public value and the discussion of the legitimacy of government inter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정책과학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