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간독>(諺簡牘)과 한글 편지를 통해 본 근대의 풍경 (A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Eongandok and Hangeul letter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9.12
20P 미리보기
&lt;언간독&gt;(諺簡牘)과 한글 편지를 통해 본 근대의 풍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9호 / 223 ~ 242페이지
    · 저자명 : 최지녀

    초록

    19세기 중반 이후 서울과 전주를 중심으로 유통된 방각본 <언간독>(諺簡牘)은 한글 편지 쓰기의 보편화에 크게 기여한 한글 편지 규식집이다. 방각본 <언간독>은 상업적 유통을 목적으로 발간된 것으로서 한글 편지를 둘러싼 실정(實情)과 한글 편지에 대한 당대인들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다. <언간독>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 혹은 편지의 주제에 따라 사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존의 한문 및 이두 규식집의 영향을 받은 ‘상편’과 달리 여성 필자의 편지 규식을 담은 ‘하편’은 기존 규식서의 영향을 덜 받은 대신 실제 통용되는 편지의 보편적 사례들을 수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언간독>의 사용자들은 기존에 제시된 양식을 적절히 조합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목차에 포함되지 않은 유형의 편지를 쓸 때에도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언간독> 상편의 규식 중에는 상인(商人)이라는 특정 직업군이 활용할 수 있는 규식이, <증보언간독>의 하편에는 하층민을 위한 규식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동윤(李東允, 1727~1809)의 <예향>에 등장하는 예향이나 이옥(李鈺, 1760~1815)의 <심생전>에 등장하는 중인의 딸과 같이 중하층의 여성들이 능숙하게 한글을 구사하고 한글 편지를 쓰는 장면이 이전 시기인 18세기의 소설 속에서 산견되기도 한다. 이로 볼 때 <언간독>은 조선 후기의 상층, 중간층, 하층 그리고 여성과 남성이 한글 편지라는 수단을 통해 대등한 위치로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하나의 상징적 장(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신분과 성별의 평등을 지향하는 근대 사회를 예비하는 면모라 할 수 있다.
    <언간독>은 편지틀 또는 편지책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전해지는 <언간독> 자료에는 편지 구절을 써 본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언간독>이 제한된 구성 내에서도 사용자의 호응을 얻으며 편지 교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언간독> 연구가 <언간독>을 독립적인 자료로 취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앞으로의 연구는 <언간독>의 실제 기능과 활용 양상, 한글 편지와의 관계 등에 주목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Eongandok is manual for Hangeul letters, which were distributed in Seoul and Jeonju since the mid-19th century.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universalization of Hangeul letters. Eongandok was published for commercial distribu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Hangeul letters and the demands of the people who needed to write Hangeul letters. The composition of Eongandok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receiver or the subject matter of the letter, unlike the first volume influenced by existing manual for Chinese letters, the last volume seems to have embraced the universal cases of the letter. A manual book is intended to be an imitation for beginners, but for those with some experience, it is bound to be a model of utilization and transformation as a reference. Users of Eongandok may not have had much difficulty in writing let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table of contents, because they could properly combining or modifying the previously presented forms. There are writing manuals for the merchant in the first volume of Eongandok and for the lower classes in the last volume of enlarged Eongandok. Meanwhile, women of middle and lower class speaking Korean and writing Hangeul letters are also found in novels of the 18th century, the previous period of Eongandok. Yehyang, a maid who appears in Lee Dong-yoon’s “Yehyang”, and a daughter of middle class men who appears in Lee Ok’s “Simsaengjeon” shows that middle and lower class women had the ability to write Hangeul letters like or surpass upper class women. Through the fact that merchants, lower class people, and upper class men were being included as writers of Hangeul letters, we can see how the use of Hangeul letters were becoming more common. These mean that Eongandok is a symbolic field and way to prepare for a modern society that seeks equality between status and ge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Eongandok was also called a letter frame or a letter book. There are often traces of writing sentences in the Eongandok, which means that Eongandok had been well received by users and faithfully performed its role as manuals for letters, even in the stereotype. If research of Eongandok has been conducted in such a way as to treat Eongandok as an independent material,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with attention to the actual function and use of Eongandok, and its relationship with Hangeul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