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기 카프 문인의 애도 양상 (The Aspects of Mourning in KAPF’s Literary Men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02
25P 미리보기
일제 말기 카프 문인의 애도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5권 / 45호 / 149 ~ 173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일제 말기에 사회주의 문학인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문학적 방향에 대하여 심각한 혼란을 느꼈다. 1930년대 후반의 한국근대문학사에서는 비로소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내면’이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치적 내면의 탄생은 이전 시기 문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애도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 관점이다. 프로이드적 관점에서 정상적 애도라는 관념이 전제하는 타자로부터의 분리는 타자를 내 식대로 만드는 것이며, 실패한 애도라는 관념이 전제하는 타자와의 합체는 타자를 나와는 무관한 온전한 타자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애도란 필연성과 불가능성을 동시에 지니는 역설 또는 이중구속을 의미한다. 즉 애도는 대상이 지닌 현실성의 상실을 통해서 그 관념상의 본질을 획득하는 지양(Aufhebung)의 구조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김남천은 사회주의와 프로문학의 상실 앞에서 이상적인 애도에 가장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김남천은 1930년대 후반에 창작된 「처를 때리고」(『조선문학』, 1937.6), 「제퇴선」(『조광』, 1937.10), 「요지경」(『조광』, 1938.2), 「녹성당」(『문장』, 1939.3) 등의 작품을 통하여 ‘불가능하지만 불가피한’ 혹은 ‘불가피하지만 불가능한’ 애도를 행하는 전향 지식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들은 과거와 결별한 듯 현재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들의 마음 깊은 곳에는 과거에 지향했던 이념의 본질이 여전히 굳게 자리 잡혀 있다. 이들 주인공들의 내면 속에는 프로이드적인 의미의 애도를 성공적으로 해내려는 자아와 애도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자아가 공존하고 있다. 보통 일제 말기 김남천의 주체 개념은 주체 ‘분열’이나 주체 ‘해체’라는 말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끝이 없는 것이고, 위로할 수 없는 것이고, 화해할 수 없는 것”으로서의 애도가 지닌 특징과 연결된 것이다. 1940년대 들어 창작된 「경영」(『문장』, 1940.10)과 「맥」(『춘추』, 1941.2)에는, 김남천 소설에서는 최초로 프로이트적인 의미의 애도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오시형이 바로 그 주인공으로서, 그는 과거의 대상에 대한 완벽한 상징화와 의미부여에 이른 모습까지 보여준다. 오시형의 반대편에 놓인 인물이 제국대학의 강사였던 이관형이다. 이관형은 자신의 옛 이념에 충실한 결과로 현재에 어떠한 리비도도 쏟아 붓지 못한다. 작가는 이관형을 오시형보다 훨씬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이관형 역시 애도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내사(introjection)와 합체(incorporation)가 결합된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만을 각각 나눠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작품에서 그 유명한 보리 이야기를 통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오히려 이 작품에서 내사(introjection)와 합체(incorporation)가 결합된 애도의 가능성은 처음부터 생활인이었던 최무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영어초록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is the period that socialistic literary men got in severe confusion regarding their identit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literature. We can say that the late 1930’s was the point that ‘the inner side of society and politics’ was finally form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basic viewpoint of this article is that the birth of that political inner sid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mourning over socialistic ideology which dominated the mental world of the previous literary men. From the Freudian viewpoint, separation from others which the idea of normal mourning presumes is to manipulate others on one’s own way. And incorporation with others which the idea of failed mourning presumes is to make others sound with no regard to oneself. Thus, true mourning means either the paradox or double binding which holds inevitability as well as impossibility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mourning can be realized only through the structure of Aufhebung which acquires the essence of the idea through the loss of reality that the object has. Before the loss of socialism and professional literature, Kim Nam-Cheon shows the aspects of morning that is the closest to this. With the works created in the late 1930’s like 「Beating His Wife」 (Chosun Munhak, Jun., 1937), 「Jetoeseon」 (Jogwang, Oct., 1937), 「Yojigyeong」 (Jogwang, Feb., 1938), or 「Nokseongdang」 (Munjang, Mar., 1939), Kim Nam-Cheon embodies the aspects of the forward-looking intellects practicing mourning that was either ‘impossible but unavoidable’ or ‘unavoidable but impossible.’ Though they were faithful to the present as if they had parted from their past, they were still holding the essence of ideology which they had pursued in the past firmly deep inside their heart. Inside the leading characters’ mind, there coexist the ego pursuing the Freudian mourning successfully and that unwilling to accept the mourning itself. Generally, the concept of Kim Nam-Cheon’s subjectivity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is described with the words of subject ‘split’ or subject ‘dissolu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as “what is endless, unconsolable, or irreconcilable.” In Kim Nam-Cheon’s novels created in the 1940’s such as 「Gyeongyeong」 (Munjang, Oct., 1940) and 「Maek」 (Chunchu, Feb., 1941), characters who perform the Freudian mourning perfectly for the first time. Oh Si-Hyeong is the very leading character, and he shows the aspects that he can symbolize the object of the past completely and provide the meaning to it. The antagonist of Oh Si-Hyeong is Lee Gwan-Hyeong who worked as the instructor at Imperial University. As the result of being faithful to his own old ideology, Lee Gwan-Hyeong failed in using any of his libido for the present. By the author, Oh Si-Hyeong turns out to be the object of severe criticism incomparable with Lee Gwan-Hyeong, but from the aspects of mourning, he does not show the true aspects of mourning. It is because they could not combine introjection with incorporation but each of them had only one of those. This is clearly shown from Bori’s Story that is very famous in this work. Instead, in this work, the possibility of morning that combines introjection with incorporation is realized by Choi Mu-gyeong who was just an ordinary character from the first place. In Kim Nam-Cheon’s 「Deungbul」 (Kookmin Munhak, Mar., 1942), the matter of mourning seems to disappear almost. The socialistic ideology that had supported him in the past was neither the barrier in his life nor any particular concern then. Because of the fact that he was not at all associated with the ideology that had let him exist as the subject in the past, 「Deungbul」 can be said to be the work that is far distant from true mourning in the sense that it forms the severest violence to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