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수당제도의 도입과 과제 (Task and Introduction of a System of Children's Allowance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07
28P 미리보기
아동수당제도의 도입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8권 / 3호 / 231 ~ 258페이지
    · 저자명 : 최영진

    초록

    아동은 한 사회의 미래이다. 아동의 불행은 아동과 가족뿐 아니라 그 사회의 미래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동의 건전한 성장이 있어야만 사회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국가는 아동의 건강하고 인간다운 성장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제도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아동복지정책은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여 년간 학계 및 시민단체와 정당을 중심으로 아동수당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나, 다른 제도와의 중복성, 재원마련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도입되지 못했다. 하지만 2017년 조기 대통령선거 국면을 거치면서 아동수당이 대통령선거의 쟁점으로 부상하였고,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아동수당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아동수당의 도입이 가시화되었다. 이어 대통령에 당선된 문재인정부는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아동수당제도 도입을 제시하였다. 이에 2018년 3월 아동수당법이 제정되었다. 이후 시행과정에서의 행정비용이 논란이 되면서 2019년 1월 아동수당법이 개정되어 아동수당은 선별지급에서 보편지급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동수당을 통한 아동양육가정에 대한 소득보장과 아동복지권의 실현이라고 하는 두 가지 가치실현을 추구하기 위하여, 아동수당의 국제규범과 주요국의 입법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수당제도의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법·제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아동수당 목적의 재정립, 보호자의 변경 사유 검토, 아동의 정의규정, 지급대상의 확대 및 지급액 인상, 출생순위별 금액 차등, 상품권의 지급 여부, 재원의 사용자부담 여부 등이다.

    영어초록

    I can say that children are the future of a society. Children’s unhappiness could have a much bad influence not only on their families but also on the future of their society. It is by only the healthy development of a chil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could be expected. So, almost all countries are trying to ensure the healthy and human development of children legally and institutionally. And under the impending circumstance that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arises seriously and the functions of a family weaken, the policy of child welfare is more and more becoming important. 56) The necessities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ion of child benefits have been being raised continuously during past 10-years by mainly academic world, civic groups and parties, but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ion has been blocked by the problems of the overlapping system with other system or the difficulties of funds’ preparation. However, in 2017, early presidential election made an issue child benefits, with the help of all political candidates’ pledge on the Child benefits Act,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ion has been come true. After being electe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continually begun to propose to introduce the system of Child Benefit Act to solve the problems of low birth-rate in Korea.
    Hereupon, Child Benefits Act new enactment was enacted in march, 2018. After that, the administrative cost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process of enforcement, being amended in Jan, 2019, child benefits has been changed from selective payment to universal payment.
    This study has studied situationally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child benefits and the lawmaking cases of the leading countries to pursue to value two realization; One is income-security on child support families, the other is to realize child-welfare. Although this is the base design, I presented a meaningful policy direction to improve our Child benefits Act. The main contents are the reestablishment of the child benefits’ purpose, the reason review of the change of protector,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of child, the expansion of the persons eligible for payment of child benefits and an increase in the amount, difference in amount by birth order, gift certificate payment status, user burden of financial resources,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