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매도 규제에 관한 연구 (Study of Regulation on Short Sale: Focusing on Problems Related to Current Structure of Regulation in Korea and Direction for Refor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공매도 규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법연구 / 31권 / 4호 / 301 ~ 329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수, 김도윤

    초록

    공매도(空賣渡)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산을 매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대로 혹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차후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종목을 하락한 주가로 되사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공매도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존재하나, 기본적으로 주가에 하락 압력을 가하는 요인이 됨을 이유로 규제당국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고, 사회적인 여론 또한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공매도는 시장 가격 형성을 원활히 하고,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하며, 위험회피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매도 규제의 프레임은 이러한 공매도의 이점을 고려하여 공매도의 순기능은 살린 채 그 역기능은 최소화하고자 하면서 전면 금지에서 선별적 허용 및 포지션 관리와 공시규제로 변화해왔다.
    이를 위해 공매도 규제체계가 정립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증권거래법 시절을 지나 자본시장법이 제정되고 개정되어 오면서 나름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는 차입공매도의 예외적 허용을 통한 공매도의 결제불능위험의 최소화와 공매도 포지션 보고, 공시를 통한 시장보호 및 예외적인 금융당국의 시장개입유보로 정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체계 하에서도 여러 문제점이 남아 있다. 차입공매도의 기준은 여전히 모호한 점이 있고, 공매도와 다른 거래를 연계한 투자기법에 현 제도는 규제의 공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총수익스왑과 같은 새로운 파생상품의 등장으로 공매도 포지션 규제도 역시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며, 과태료 처분만으로 공매도 규제의 실효성 확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공매도 규제에 대해서는 그 규제의 방향이 타당한지, 수단이 적정한지에 대해 논의가 계속 중이고, 우리나라의 공매도 규제 역시 완성형이라기보다는 현재 진행형에 가깝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공매도의 의의와 기능에서 시작하여 기존 논의의 정리․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공매도 규제체계를 들여다보고, 외국의 규제들과 비교한 다음 현행 공매도 규제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가 향후 공매도 규제의 정책방향을 정립하고, 법규화하는데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tudy of Regulation on Short Sale: Focusing on Problems Related to Current Structure of Regulation in Korea and Direction for Reform









    Jung-Soo Lee․Do-Youn Kim









    A short sale is an investment device which one sells a stock not possessed to. In a case where the stock price goes down, a short seller can get gains through selling stocks not owned and paying stock back some days later.
    It is a controversial issue whether a short sale should be regarded as a justifiable investment method or not, but principally, regulatory authorities have a negative view as well as public opinion. However, the short sale has many merits such as it provides liquidities to the stock market, it would be a new investment device to investors, and hedging device as well. In this regard, a regulatory frame for the short sale changes from overall prohibition to selective permission such as allowance of covered short sale and position disclosure obligation to mitigate its negative effect while maintaining positive ones.
    For this purpose, there is a regulatory regime set up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which has developed her own regulation system from the Securities Exchange Act to the Capital Market Law. In the present regulation frame in Korea, there are three core elements: exceptional allowance of covered short sale to minimize unsettlement risk, disclosure obligation of short position and a reservation of governmental market intervention right for market crisi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is regulatory frame. It is ambiguous to determine what is a covered or what is a naked. Also, no one denies there is a regulation gap to new investment devices connected to the short sale and a disclosing obligation reveals its limita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TRS (Total Revenue Swap). Furthermore it is true that securing effectiveness of regulation by relying only on monetary fines which has a cap approximately thirty thousand USD is not only difficult but unrealistic. Therefore, Korean regulation frame is not completed but still developing one as well.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the meaning, merits of the short sale and analyzed regulation frames but more focused on the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regulations. We hope that this paper could be the one of references for determining of direction of the short sale regulation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