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陶山書院 刻板活動 硏究 (A Study on the Publications of Tosan Seowonin And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6
78P 미리보기
陶山書院 刻板活動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서원학보 / 12호 / 49 ~ 126페이지
    · 저자명 : 배현숙

    초록

    중종 38(1543)년 풍기에 백운동서원이 건립된 후 서원에서 처음으로 서적을 각판한 것은 선조 7(1574)년 鄭逑가 성주의 川谷書院에서 각판한 『薛文淸公讀書錄(要語)』이었다. 이후 각지 서원에서 각판하였는데, 그 가운데 도산서원은 講學, 藏修, 藏書, 刻板에 있어서 그 영향력이 전국적이었다. 본고에서는 도산서원에서 각판한 서적에 대해서 개략적으로나마 그 흐름을 살펴보았다.
    도산서원에서 최초로 각판한 서적은 선조 9(1576)년 각판한 『宋季元明理學通錄』 이다. 마지막 각판본은 1924년의 〈吾家山志〉이다. 도산서원 각판과 관련있는 서적은 26종이었다. 그중 16세기 각판은 3종, 17세기에는 8종, 18세기 8종, 19세기 3종, 20세기초 4종이다. 조선 후기 학술이 가장 발달했던 17~18세기에 가장 많은 서적을 간행하였으며, 이는 서원의 흥성이 조선 문예의 흥성과 궤를 같이 한 것으로 보인다. 도산서원에서 초각한 서적은 16종 61%, 초각・중각한 서적은 1종, 초각・중각・삼각한 서적도 1종이다. 도산서원에서 중각한 서적은 4종, 중각・삼각한 서적은 3종이다. 九刊本을 각판한 서적은 『朱子書節要』1종이다. 따라서 도산서원에서 초각한 서적이 중심인 것을 볼 수 있다.
    도산서원의 주향자인 퇴계의 저작은 10종 38%, 퇴계 일문의 저작은 6종 23%, 퇴계학파와 관련이 있는 저작은 6종 23%였다. 퇴계와의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에 있어서는 경부서적 2종, 사부서적 5종, 자부서적 4종, 집부서적 15종 57%이다. 집부서적이 압도적으로 많다. 유가류 서적을 중심으로 각판했지만, 강학과는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서적이 주류였음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원에서는 강학과 관련 있는 서적의 간행이 거의 없다할 정도인 반면, 도산서원에서 판각한 서적에는 강학과 관련 있는 서적도 상당수 있는 점은 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산서원에서 각판한 서적은 23종이고, 藏板한 판목은 3종이었다. 장판본인 『嶠南賓興錄』은 경상감영이 주관해 각판했고, 『松齋先生文集』은 충주목에서 각판했으며, 『退溪先生自省錄』은 나주목에서 각판한 것인데, 도산서원에 옮겨 장치한 것이다. 또 도산서원 각판본으로 서원에 수장되어 있던 판목이 후에 당해 종가로 반출된 판목은 『溪巖先生文集』, 『近始齋文集』, 『聾巖先生文集』, 『雲巖逸稿』의 4종이다. 『經書釋義』의 판목은 전혀 행방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도산서원에 장치되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된 책판은 21종이다.
    낙장 없이 전체 판목이 전래되고 있는 책판은 『『嶠南賓興錄』을 위시하여 12종이다. 가장 많은 책판이 남아 있지만, 결판도 많은 판목은 『退溪先生文集』이다. 『『溪巖先生文集』, 『古鏡重磨方』, 『溫溪先生逸稿』, 『朱子書節要』는 1판이 부족하다.
    또한 간행의 전말도 기록해두었는바 『『退溪先生文集』의 보각과 중각시의 간행과정을 기록한 《先生文集改刊日記》와 《退溪先生文集重刊時日記》, 『陶山及門諸賢錄』의 간행과정을 기록한 『《及門錄營刊時日記》』, 퇴계의 숙부 송재 이우의 문집 간행시의 기록인 『《先祖松齋先生文集重刊時記事》, 이이순의 문집 『後溪集』의 간행과정을 기록한 《先祖文集刊役時日記》의 5종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5종을 통해 책판의 간행논의 과정・인적인 구성・원고 교정・경비의 규모, 경비 마련과 결산・판재마련・장인 동원・각판, 인출, 장황의 제작 과정・간본의 반질 등에 대해 알 수 있다. 그 간행과정과 당시의 경제사정까지 알 수 있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도산서원의 각판을 통해 도산서원은 학문적인 면에서도 선도적인 기능을 하였으며, 서적 간행에 있어서도 선도적인 기능을 한 것이 증명되었다.

    영어초록

    Seowon began originally as an educational institute for Ganghak (mastering of study and researching) and Jangsu(reading books and striving in studying).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students had to read books and think over and over again. At that time, books were published mainly by xylographic prints, or woodcuts in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ations by Tosan Seowon that has worshiped Yi Hwang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e woodblocks of a total of 26 titles were investigated. The bibliographies of these publica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An analysis of these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First, whole story of publication for 5 titles were passed down. They are 『Seonjo Munjib Gae-gan Ilgi』, 『Toegye Seonsaeng Munjib Jung-gansi Ilgi』, 『Geubmunrog Young-gansi Ilgi』, 『Seonjo Songjae Seonsaeng Munjib Jung-gansi Gisa』, 『Seonjo Munjib Gan-yeogsi Ilgi』. In these books were recorded that a process of consultation for engraving of woodblocks, composition of a commission, manuscript proofreading, raise operation expenses and scale, the closing account, prepare printing block, artisans participated, engraving on wood blocks, print process, binding, distribution of printed books.
    Second, there was not published during Yi Hwang’s lifetime. And the period when the woodblocks were made was from the late in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woodcuts was 『Song-gye Wonmyung Lihag Tongrog』 in the year 1576. The last woodcuts was 『O-gasanji』 in the year 1924. 3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8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8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3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4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The first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16 titles. The first and second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1 tit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1 title. The second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4 titles. The second and third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3 titles. The 9th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were 1 title, 『Jujaseo Jeolyo』. Thus, we can see the first edition engraved by Tosan Seowon is majority.
    Third, as the authors were all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oegye shrined by the Seowon. Works written by Toegye Yi Hwang were 10 titles(38%). Toegye's family were 6 titles(23%). Toegye school, descendents and disciple were 6 titles.
    Forth, Examined these publications by subjects. The large parts of the publications, 15 titles(57%) belong to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Next 5 titles belong to the class of History. Next 4 titles belong to the class of Fellow Philosophers and Scholars. Lastly, 2 titles are in the class of Scriptures of Confucianism. Most of titles were not connected with Ganghak(mastering of study and researching).
    Fifth, All of the above mentioned titles were published from woodblocks. All of them were stored by Tosan Seowon. Among them 3 titles were engraved by another place and brought from another place. And 4 titles were engraved by Tosan Seowon and wer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21 titles among 26 titles were wholly stored in Tosan Seowon. Only 1 title, 『Gyeongseo Seog-eui』 were wholly lost.
    Tosan Seowon functioned as the leading authority for Ganghak, Jangsu and Collection of books. And functioned as the leading authority for publication of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