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상심(平常心)과 도(道)-욕망의 질적 전환을 통한 삶의 대긍정- (‘Ordinary Mind’ is, as It is, the Way : Cheerful View of Life by Essential Transformation of Desir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11
34P 미리보기
평상심(平常心)과 도(道)-욕망의 질적 전환을 통한 삶의 대긍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41호 / 133 ~ 166페이지
    · 저자명 : 조준호

    초록

    중국 선불교, 특히 홍주종은 인도의 초기불교 등과 달리 욕망하는 중생심보다는 바로 돈오의 입장에서 출발한다. 때문에 인도불교는 욕망과 직접 대응하여 그야말로 처절한 인간적인 고뇌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욕망 앞에 휘둘리고 질척거리는가 하면 때로는 계속되는 욕망의 노출에 못 이겨 자살을 감행하는 경우도 보인다. 반면에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중국불교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는 선불교는 인도불교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게 전개된다. 결코 돌출된 욕망에 소심하게 질척거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초기불교에서 보여주었던 욕망에 매달리고 끄달리는 모습이 유치하게 느껴질 만큼 중국 선불교는 기백에 차있고 대범하다. 결코 욕망 앞에 쩔쩔 매고 휘둘리거나 수심어린 그런 나약한 모습이 아니다. 또한 욕망 앞에 무릎을 꿇는 인간상을 보여주지도 않는다. 오히려 욕망과 씨름하는 데서 벗어나 처음부터 욕망에 대범하고 욕망에 자유로운 운용이 통쾌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 가운데 마조계 홍주종에서는 ‘평상심시도’와 수처작주(隨處作主)를 기치로 삶을 대긍정하는 활달자재한 운용이 강조되는 선불교 특유의 욕망관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figure of a human heartbreaking agony immediately corresponding to our own desire evidently appears in the Indian Buddhism. The incidents to be wielded, stuck by desire and even to attempt to commit suicide driven by a constant exposure of desire are shown.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however, Chan Sect as a best work of the Chinese Buddhism had been evolved in a sharp contrast with an atmosphere of the Indian Buddhism. It is not the case that such a timid aspect as obsessed by a protrusion of desire is seen. The soul of Chinese Chan Buddhism is rather replenished and broad minded as much as it seems to be immature that the phase attached and harassed by a desire appears in the Early Buddhism. It is neither bewildered nor easily swayed by a desire and does not show such a weak attitude clouded with melancholy. Moreover, a human character kneeling down before a desire does not appear. Jumbling up us in a very desire and further a liberal application of it unfolds with a gratifying victory rather than wrestling with a desire. It is the unique point of view on a desire in the Chan Buddhism that presents a positive affirmation of very this life signifying the application of open-hearted manners in a banner proclaiming ‘ordinary mind is, as it is, the way’ and ‘being your own master wherever you are’ in the Hongzhou School following Mazu lin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