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궁궐의 殿閣 月臺와 의례 —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대상으로 — (The Palaces Weoldae(月臺) structur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and related ritual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6
40P 미리보기
조선후기 궁궐의 殿閣 月臺와 의례 — &lt;동궐도&gt;와 &lt;서궐도안&gt;을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7호 / 379 ~ 41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진, 손신영

    초록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되어 있는 월대는 正殿과 같은 위격이 높은 건물 앞에 놓인 평평한 臺이다. 법전이나 국가전례서에는 월대의 정의나 조성관련 규정이 수록되지 않았다. 조선후기 대표적인 궁궐 그림인 <東闕圖>와 <西闕圖案>에는 外殿의 正殿・便殿・正寢・寢殿・東宮 등에 월대가 조성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월대가 마련되어 있는 이 건물들은 왕실 구성원 중 국왕이나 왕후・세자・세손 등과 관련 있다. 이들은 법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 법의 규정 밖에 있는 왕실의 사람들이다. 살아 있을 때 그곳에서 정무를 보거나 거처하고, 죽은 뒤에는 神主를 봉안하는 魂殿 또는 御眞을 봉안하는 眞殿으로 활용된 공간이다. 조선은 신분제적 질서가 엄격한 유교 국가였고, 이는 궁궐의 전각에도 적용되었다. <동궐도>와 <서궐도안>에 월대가 묘사된 전각들은 월대의 존재만으로도 여타 전각과는 위상이 달랐음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월대가 있는 전각 중 의례를 거행한 곳은 외전의 정전이 대부분이다. 외전의 정전에서 국왕이 직접 맹세를 한다거나, 제사를 지낼 때 香을 직접 전한다거나, 명나라 세 황제를 위해 조성한 皇壇에서 望拜禮를 올리는 등의 의례를 거행하였다. 다음은 월대와 거기에서 행한 의례를 통해 본 兩闕의 관계이다. 조선전기에는 경복궁과 東闕을 양궐로 보았는데, 임진왜란 이후로 경복궁이 불타면서 동궐ᆞ 및 西闕이 양궐을 형성하면서 法宮이 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 국왕이 다른 궁궐로 옮겨가면 혼전의 신주나 진전의 어진도 함께 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옮겨간 궁궐에 있는 전각을 혼전이나 진전으로 삼아 의례를 행하였다. 그런데 영조의 경우는 경희궁으로 옮겨간 뒤에도 창덕궁에 있는 진전에 拜謁하였다. 경희궁으로 옮겨갔다고 해서 경희궁 중심으로 궁궐을 운영한 것이 아니라 창덕궁・창경궁과 유기적으로 궁궐을 운영하였다.

    영어초록

    Weoldae -which we can find inside Joseon palaces- is usually erected in front of important structures including the Main Hall(Jeongjeon, 正殿).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its nature that we can find in official law codes or dynastic ritual manuals, and such records do not specify what kind of rules should be observed in creating them either.
    In illustrations of palaces such as <Dong’gweol-do(東闕圖)> and <Seogweol-do’an(西闕圖案)>, Weoldae can be seen at structures such as the Main “Jeongjeon” Hall(正殿), Royal office(Pyeonjeon, 便殿), Royal Quarters(Jeongchim, 正寢), Queen’s bedroom(Chimjeon, 寢殿), Quarters of the Crown Prince(Dong’gung, 東宮), and other structures. All these structures equipped with a Weoldae were related to special figures inside the royal family such as the king, the queen,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prince’ son. These figures were literally above the law, and as such their treatment could not be defined by law. And these spaces were where they worked or rested while they lived, and where their posthumous tablets(Shinju, 神主) or portraits(Eojin, 御眞) were enshrined after they died. (When such spaces were used for latter purposes, they were designated either as ‘Honjeon[魂殿, chamber of the tablet]’ or ‘Jinjeon[眞殿, hall of portrait’]).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with a strict social stratification system, and the palace structures reflected such atmosphere as well. We can see that structures described with Weoldae in <Dong’gweol-do> and <Seogweol-do’an> were structures which were more important than others that did not have a Weoldae.
    Among structures with Weoldae, the place which hosted most of the dynastic rituals was the Main Hall. In this Main Hall, the King swore an oath himself, passed the incense(香) himself during memorial services, and observed honoring ceremonies[Manbae-rye(望拜禮)] at the “Hwangdan”(皇壇) altar which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three Ming Emperors.
    The so-called “Two Palaces[兩闕]” of Joseon shared a unique relationship in terms of their own Weoldae units and the rituals that were held there.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Gyeongbok-gung(景福宮) and Dong’gweol(東闕) constituted the “Two palaces,” but after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during which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incinerated, Dong’gweol and Seogweol(西闕) came to newly form the “Two palaces” instead. Meanwhile, Changdeok-gung(昌德宮) became the main palace[法宮], replacing the previous one which had been Gyeongbok-gung.
    In general, when a king moved to another palace, the ancestral tablets in the Honjeon chamber or the portrait in the Jinjeon hall would accompany him as well. Their presence w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new palace. But king Yeongjo was an exception from that practice. Even after he moved to the Gyeong’hi-gung(慶熙宮) palace, he continued to pay visit to the Jinjeon Hall at Changdeok-gung. While he was positioned inside Gyeong’hi-gung, he did not manage the palace with Gyeonghi-gung as its sole center. He tried to manage other palaces like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昌慶宮) as well, and as organically as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