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도서지역의 기와 유통관계 -흑산도 출토품을 중심으로- (The Distribution of Roof Tiles in Island Areas in the Goryeo Dynasty - Focusing on roof tiles excavated from Heuksan Island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6
36P 미리보기
고려시대 도서지역의 기와 유통관계 -흑산도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38호 / 27 ~ 62페이지
    · 저자명 : 이수경

    초록

    흑산도는 중국 동남부에서 출발하여 가장 빨리 다다를 수 있는 고려의 첫 기착지이며 최단거리의 중간 거점지로써 매우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시대 송나라 외교를 비롯하여 한·중·일을 연결하는 중요한 해상 관문 역할을 하였다.
    흑산도에는 고려시대 관사(館舍)로 추정되는 관사터를 비롯하여 무심사지, 상라산성, 봉수대 등의 유적이 위치해 있으며, 고급 기종의 청자류, 중국자기, 동전 등도 출토되어 흑산도의 위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흑산도 출토 기와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도서지역 기와의 유통관계를 살펴보았다. 흑산도 기와의 변화상은 2시기 구분되며 1기는 명문기와가 제작·사용된 시기로 흑산도에는 지명, 연호명, 간지명, 사찰명, 관리자명 등 많은 명문와가 출토되었다. 이 중 지명은 모두 내륙지역과 관련된 명문으로 화순, 나주, 광주, 담양 등이 있다. 이 중 ‘陵城郡…’ 명문와는 화순의 옛 지명으로 흑산도뿐만 아니라, 화순지역 유적에서도 확인되며, 기와의 태토분석 결과 두 지역간 제작지의 유사성도 확인되었다. 2기는 변형 일휘문 막새 중심으로 확인되며, 일휘·당초문 암·수막새, 단판 연화문 수막새 등은 전남 내륙지역과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흑산도에서 내륙 지명의 명문와가 출토되는 이유는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자체 기와의 생산에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지명에서 확인된 지역은 고려시대 조운제도인 조창과 관련이 있으며, 전라도 6개 조창 중 하나인 나주 해릉창의 수세구역에 해당한다.
    또한 흑산도 주민들이 나주 해릉창 인근으로 이거하여 마을을 형성한 기록을 통해 화순, 담양, 광주 등에서 제작된 기와가 조창인 나주까지 운반되어 흑산도까지 이어지는 유통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Heuksando Island is the first stop in Goryeo, which starts in southeastern China and reaches the fastest, and occupies a very important location as a mid-range hub. It served as an important maritime gateway connecting Korea, China, and Japan, including Song Dynasty diplomac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relics unearthed from the of government office site and A temple called Musimsa, excavated from Heuksando, are all high-quality celadon, Chinese porcelain, and roof tiles, suggesting the status of Heuksando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ow of tiles from the islands of the Goryeo Dynasty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tiles excavated from Heuksando Island.
    The roof tiles of Heuksando Island ar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when prestigious tiles were produced and used, and inland places such as Hwasun, Naju, Gwangju, and Damyang were confirmed in tiles. Among them, the tile with the inscription "Nungseong-gun" is an old place name of Hwasun, and has been confirmed not only in Heuksando Island but also in the ruins of Hwasun area. One tile pattern excavated from the ruins of Jamjeong-ri, Hwasun, was also excavated from the roof tiles of the site of the government office. In addition, the similarity of the production sites between the two regions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ay of roof tiles.
    The second period is the central period of Heuksando Island, and the shape of the roof-end tile has a hemispherical protrusion in the center, and the shape of the two rows around it is not confirmed, but only the deformed hemispherical protrusion-shaped roof-end tile is confirmed. The excavated "Ilhwamun" and "Dangchomun" set roof-end tile and "Yeonhwamun" roof-end tile have been confirmed to be related to the inland areas of Jeollanam-do.
    The reason why prestigious tiles with inland names were excavated in Heuksando Island is that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production of its own tile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island. In addition, the area identified in the place name is related to Jochang, a Jounje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and is a flush area of Haereungchang, Naju, one of the six Jochangs in Jeolla-do.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a distribu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tiles made in Hwasun, Damyang, and Gwangju were transported to Naju, where the residents of Heuksando Island moved to Haereungchang, Na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