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기영의 영화 <이어도>(1977)에 나타난 이어도 전설의 차용 (Borrowing of the Ieodo Legend in the Film Ieodo (1977) Directed by Kim Ki-you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김기영의 영화 &lt;이어도&gt;(1977)에 나타난 이어도 전설의 차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88호 / 169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용주

    초록

    구전이나 기록으로 전해오는 전설이나 신화를 영화에서 차용하여 시청각으로 표현된한다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을까. 이어도는 실재했던 것으로 전해오는 전설일까. 그와 별개로 제주도 사람들의 가슴 속에살아 전해오고 있는 신화일까. 우리는 김기영 감독의 영화 <이어도>(1977) 에서 이어도 전설의 기원이나 그 실체, 그리고 그 전설이 어떤 기록으로남아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청준 소설 『이어도』를 원작으로만든 각색 영화에 그것이 어떻게 차용 혹은 변용되어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화의 전개로 보면, 이어도는 김기영 감독이 영화의 타이틀로 <이어도(異魚島)>로 표현한 것과 달리 이청준의 소설의 제목이나 오래된 기록물인 『남사록』에서 제녀도(滛女島) 혹은 음녀도(淫女島), 『남환박물』에서유녀도(遊女島), 구전으로 전해오는 설화나 민요에서 이어도(離於島), 이여도(離礖島), 이허도(離虛島), 이야도(離倻島) 등에 가깝다. 영화에서 이어도 전설이 대부분 차용되고 있다. 영화는 이어도 전설을 차용하여 제주사람들의 내면에는 여전히 전설로 남아있는 “과부들의 섬이요.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환상의 섬, 피안의 섬”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21세기를 사는 우리는 “자연계가 파괴되면서 전통사회가 붕괴하는 것, 그 속에서 사람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신앙도 혼미해질 수밖에 없다.”라는 김기영 감독의 주장에도 동의할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If legends or myths handed down in oral traditions or records are borrowed from movies and are expressed in audiovisual media, what aspect can they show? Is Ieodo just a legend that is believed to have existed, or is it a myth that has been handed down separately in the hearts of the people of Jeju Island? Through the analysis of director Kim Ki-young’s film Ieodo (1977),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origin or the reality of the legend, and how it is borrowed or transformed in an adaptation film based on Lee Chung-joon’s novel Ieodo (1996).
    According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film, the Ieodo Island is depicted as an island of nirvana, which remains a legend inside the Jeju people, unlike Kim Ki-young’s statement that the Blue Island is not a utopia where tradition and mystery coexist, but a contaminated place. Ieodo is depicted as the sanctuary of Jeju Island, where everyone dies after their arrival. So, Ieodo is a place you can’t see before you die, You can’t come back after you see this island. The legend of Ieodo is mostly borrowed from the film. Ieodo has already been scientifically discovered in terms of its location and substance, and a marine scientific research station has been built there, but it is still a legend in the mind of the Jeju people. It is the island of nirvana, a fantasy island where joy and sadness inters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