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봉화상보권염불첩경도」와 영원만일회 (Analysis on Jungbong Hwasang Bogwon Yeombulcheopgyeongdo(中峯和尙普勸念佛捷徑圖) and YeongwonManilhoe(靈源萬日會))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중봉화상보권염불첩경도」와 영원만일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8호 / 89 ~ 118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석

    초록

    본고에서는 1781년 영원암에서 간행된 「중봉화상보권염불첩경도」의 내용을 분석하고, 영원만일회와 관련된 새로운 자료를 통해 만일회에 참여한 인물과 상황 등을 보완하였다.
    첫째 「염불첩경도」에는 중봉의 이름이 들어있지만, ‘도’에 인용된 내용을 살펴본 결과중봉 이후에 성립된 문헌들이 발견되므로, 이 ‘도’가 중봉의 진찬으로 보기는 어렵다고보았다. 그러나 이 ‘도’의 구조가 범부와 성인이 되는 원리를 ‘마음’으로 보고, 그 마음을 자각하는 방법으로 염불을 권한 것은 중봉의 선정회통(禪淨會通) 사상과 동일한 맥락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영원만일회는 1772년 가을에 시작되었고, 10년이 지난 1781년 7월에 「염불첩경도」가 간행되었다. 『경암집』에 나온 「영원암설회사적기」에는 만일회를 이끌던 백화·문곡·환암의 세 장로가 만일회가 시작된 후 10년 내에 차례로 입적하였다고 기재하였다.
    이들이 모두 입적한 다음 주실(住室)로 운파 우(雲波宇)가 등장하는데, 이는 「염불첩경도」 의 간기에 나온 체우(體宇)와 동일 인물로 생각된다.
    셋째, 영원만일회와 관련하여 『경암집』과 채제공의 「문곡대사비명」 등에 의거하여, 만일회를 주도한 3인의 장로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정리해 보았다. 백화는 『조계고승전』 에 이름만 나오는 백화 팔정(白華八晶) 선사이고, 문곡은 채제공의 비명에 나온 문곡 영회(文谷永誨) 대사이며, 환암은 경암에게 선지를 내린 선사로 보인다. 만일회의 지속 여부와관련해서는 채제공의 「설파대사비명」에 의거하여, 1772년 시작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Jungbong Hwasang Bogwon Yeombulcheopgyeongdo(中峯和尙普勸念佛捷徑圖) published in Yeongwonam(靈源 庵) in 1781, and supplemented the people and situ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through new data related to YeongwonManilhoe(靈源萬日會).
    First, although the name of Jungbong(中峯) is included in the Yeombulcheopgyeongdo, it is difficult to see this ‘Do(圖)’ as the authenticity of Jungbong because documents established afterJungbong are foun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Yumbulcheopgyeongdo sees the principle of practice as the ‘mind’, and that the authority to chanting Buddha (念佛) as a method of enlightenment is in the same context as Jungbong’s idea.
    Second, YeongwonManilhoe began in the fall of 1772, and the Yeombulchobyeongdo was published in July 1781, 10 years later. In the article about Yeongwonam in Gyeongamjip(鏡巖集), it was stated that the three elders of Baekhwa(白花), Mungok(文谷), and Hwanam(喚庵), who led the YeongwonManilhoe, died one after another within 10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the event. After all of them die, Unpa u(雲波宇) appears, and this person is thought to be the same person as Chewoo(體宇), who published Yumbulchupgyeongdo.
    Third, based on the writings of Gyeongam and ChaeJeGong in relation to YeongwonManilhoe, I tried to organize the information on the three elders who led the YeongwonManilhoe as much as possible. Baekhwa is Baekhwa Paljeong(白華八晶), Mungok is Mungok yeonghoe(文谷永誨), and Hwanam is seen as a teacher who taught Gyeongam.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YeongwonManilhoe continued, according to Chae's writing, it was considered that the YeongwonManilhoe, which began in the fall of 1772, was still continuing in 1791, the 20th y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