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17세기 慶尙道 慈仁縣 復縣 과정과 이를 둘러싼 慈仁․慶州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 (The process of restoration to a Hyeon(縣) of Jainhyeon(慈仁縣), Gyeongsang-do(慶尙道) during the 16th to 17th centuries and the trend of the local gentry in Jain(慈仁) and Gyeongju(慶州) surrounding the proces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2.08
35P 미리보기
16~17세기 慶尙道 慈仁縣 復縣 과정과 이를 둘러싼 慈仁․慶州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1권 / 25 ~ 59페이지
    · 저자명 : 이광우, 이수환

    초록

    본 논문은 慶尙道 慶州府의 屬縣으로 존재하다 1637년 분리된 慈仁縣의 復縣 과정과 이를 둘러싼 자인현과 경주부 사족들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속현을 비롯한 鄕ㆍ所ㆍ部曲 등의 任內는 점진적인 중앙집권화 정책에 따라 고려중기 이래 일련의 정비 작업이 지속되었는데, 이중 속현은 16세기 이전 대부분 정비가 완료되어 주읍으로의 승격, 통폐합 등의 방향으로 위치조정이 이루어졌다. 나머지 속현도 조선후기까지 주읍의 面里로 개편되는 것이 일반적인 양상이었기에, 1637년 자인현의 복현은 조선시대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하여 특이한 사례로 주목할 수 있다.
    자인현 복현과 관련하여 또 하나 주목할 점은 복현 과정에서 파생된 각종 자료들이 남아 있어, 당시 두 고을 사족들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전기까지 광범위하게 임내의 정비가 이루어졌으나 자료의 한계상 당시 주읍과 임내 고을 구성원의 입장은 규명할 수 없었다. 이와는 달리 자인현 복현 사실은 地理誌類에 산견되며, 특히 慶州李氏 楊月門中에는 그 과정에서 작성된 각종 古文書類가 남아 있어 두 고을 사족들의 입장을 살펴 볼 수 있다.
    자인현의 복현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되는데, 첫 번째 움직임은 16세기 후반, 자인현을 경주부로부터 분리시켜 인근 慶山縣 또는 大邱府와 합속시키려는 시도였다. 두 번째 움직임은 1630년대에 있었던 복현 시도로, 1637년 이를 윤허 받게 된다. 세 번째는 고을 북쪽에 위치한 仇史部曲을 합속시켜 자인현의 北面으로 편성하려는 움직임이다.
    이상의 복현 과정에서 두 고을 사족들 간에 이론이 분분하였지만, 가장 핵심적인 쟁점은 단연 賦稅 문제였다. 자인현의 부세는 주읍인 경주부가 관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불합리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더구나 자인현은 다른 경주부의 임내와는 달리 경주부 사족과의 연고가 거의 없는 속현이었기에, 그 정도가 더욱 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자인현의 사족들은 주읍으로부터의 분리를 추진하였으며, 경주부 사족들은 유향소와 관권을 통해 이를 저지하려 했던 것이다.
    이렇게 자인현이 복현을 추진하게 된 원동력은 지역 사족들의 성장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6세기 이래 형성되기 시작한 자인현 사족들은 鄕校 활동과 임란 의병 활동 등을 매개로 지역 여론을 주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장을 배경으로 자인현 사족들은 부세의 불합리에서 탈피하고, 주읍의 간섭에서 벗어나 향권을 독자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복현을 추진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o a hyeon(縣) of Jainhyeon(慈仁縣), which became independent in 1637 after existing as a sub-hyeon(屬縣) of Gyeongjubu(慶州府), Gyeongsang-do(慶尙道) during the Joseon(朝鮮) period, and the trend of the gentry in Gyeongjubu and Jainhyeon surrounding the process. The precincts such as Hyang(鄕), So(所), Bugok(部曲) including sub-hyeon, went through a series of consistent restructuring processes from the mid-Goryeo(高麗中期) period in accordance with a gradual centralization policy. Among others, the restructuring related to sub-hyeon was mostly completed before the 16th century; therefore, the adjustment of its status was made, involving the promotion toward Jueup(主邑, main eup) and integration. It was a general pattern that the other sub-hyeons were restructured as Myeon-ri(面里) as part of Jueup by the later Joseon period. Accordingly, the restoration to a hyeon of Jainhyeon in 1637 may draw attention as an unusual case in relation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Joseon period.
    Another notable factor in relation to the restoration to a hyeon of Jainhyeon is that there remain various types of documentary data derived during the restoration process that enable us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gentry in Gyeongjubu and Jainhyeon at that time. The restructuring of precincts was carried out extensively in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owing to limited data,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position of the members of the Jueup and precinct villages of those times. In contrast, the restoration to a hyeon of Jainhyeon is often found in Jirijiryu(地理誌類, geographic book), and, in particular, there remain diverse old literary documents prepared at that time in the Gyeongju Yangwol Yi family(慶州李氏 楊月門中), which makes it possible to witness the position of the gentry from those two villages.
    The restoration of Jainhyeon to a hyeon is largely made up of three stages. As first, there was an attempt to separate Jainhyeon from Gyeongjubu and combine it with nearby Gyeongsanhyeon(慶山縣) or Daegubu(大邱府) during the late 16th century. Second, there was an attempt to restore it as a hyeon in the 1630s, and restoration to a hyeon was granted royal permission in 1637. Third, there was a movement for combining Gusabugok, which was located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village, as a northern myeon of Jainhyeon.
    During the above restoration process, the gentry from the two villages proposed a variety of reasons; however, the most crucial issue was obviously taxation. The taxation of Jainhyeon had been managed by its Jueup, Gyeongjubu. Meanwhile, some absurdity had appeared. Furthermore, unlike other precincts of Gyeongjubu, Jainhyeon was a sub-hyeon that did not have nearly any relationship with the gentry of Gyeongjubu; therefore, its level should have been severer.
    Consequently, the gentry of Jainhyeon pursued separation from Jueup, and the gentry of Gyeongjubu tried to stop this through Yuhyangso(留鄕所, advisory office) and national power. The driving force for Jainhyeon to pursue its restoration to a hyeon may be found in the growth of the local gentry. The gentry of Jainhyeon began to be created from the 16th century and came to lead local public opinion based on Hyanggyo(鄕校, Confucian temples and schools) activities and army activities for justice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gainst this backdrop of growth, the gentry attempted the restoration to hyeon of Jainhyeon in order to operate the right to the Confucian temples and schools independently while escaping from absurd level of taxation and control of Jue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