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율의 「心學圖」상 求放心 논의와 공감교육 문제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discussions about ‘to seek for the lost mind(求放心)’ in ‘XinXueTu’(心學圖) and the education focused on empath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1.02
37P 미리보기
퇴율의 「心學圖」상 求放心 논의와 공감교육 문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65호 / 91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민선

    초록

    본 논문은 목적은 ‘공감’능력의 함양을 위한 ‘감정교육’과 유학(儒學)에서 언급하는 ‘수양’과의 가능성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감정에 대한 관심과 이를 이용한 교육은 최근 들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감정은 타인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기본의 언어로써 중요한 위치를 담당한다.
    유학에 있어 교육은 ‘수양론’으로 말할 수 있다. 수양에 있어 감정에 관한 논의는 퇴계와 율곡의 서신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율곡은 ‘구방심’(求放心)의 위치문제를 핵심으로 하는 근거를 들어서 「심학도(心學圖)」가 잘못된 그림이라고 비판한다. 퇴계는 이에 대하여 현재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학문의 핵심이라고 보아 「심학도(心學圖)」를 단계로 나누어 위치시키는 것을 비판한다. 「심학도(心學圖)」에 관한 퇴율의 논의는 이전까지 서신의 내용을 소개하는 정도로만 다루어졌고, 왜 그러한 이견(異見)이 생기게 되었는지는 연구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생기게 된 원인을 감정과 공감 교육의 문제와 결부시켜 연구하였다.
    현대사회와 같이 개체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시대에서는 타인에 대한 공감이 중요한 문제이다. 타인과의 공감을 위한 감정교육은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시사점을 준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 삶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 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왜냐하면 다양성이 계약과 같이 타인을 인정하는 합의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감능력에 기반한 다원성의 인정은 합의가 아닌 ‘포용’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은 감정 소외를 일으키는 학문과 수양의 문제점을 알아본다. 특히 감정에 관한 퇴계와 율곡의 논의에 주목함으로써 유학적 교육인 ‘수양’과 감정 교육의 접합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이에 있어 도덕 감정에 대한 아담 스미스의 논의와 사회 심리학에서 말하는 공감의 실패에 대한 연구 성과를 참조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possibilities between 'education focused on emotions' that has the purpose of 'empathy' and 'self-cultivation' which is said in Confucianism. It is lively discussed to concern about emotion and be educated through it. At this point, to say, that means that the theme of 'emotion' and 'empathy' have been avoid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regardless of Eastern and Western society. However, 'emotion' has crucial and significant status as the basic and standard language that have the characteristic of which one is able to understand the others and to respect the diversity.
    Education in Confucianism used to mean 'self-cultivation'. It is clearly represented over the letters between Teo-Gye(退溪) and Yul-Gok(栗谷) to discuss and debate about the position of 'to seek for the lost mind'(求放心) on the picture, 'XinXueTu'(心學圖). Yul-Gok regarded that position as lower level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and thus, 'emotion' of individual has been alienated. Toe-Gye, on the other hand, saw it as understanding of one's present mind and set it as the center of his learning. Hence, the view such as Yul-Gok has the matter of emotion avoided.
    In comtemporary society where one should respect the individualism and diversity, empathy for the others is important matters. Education focused on empathy gives us suggestions that help to comprehend the diversity. Yet, in our daily live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respect to the diversity is broken. Because the diversity is understood as the consensus to identify the others. Approving the diversity based on the ability of the empathy has the crucial meaning as the 'tolerance‘.
    In this dissertation,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learning and self-cultivation that cause emotional estrangement. Especially, in having attention to the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I would seek to know the possibilities of joining between 'self-cultivation' as of Confucian education and education focused on empathy. In investigating this theme, the insight of moral-sentiment of Adam Smith and the failure of empathy referred in social psychology could b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