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천 송암미술관소장 <釋迦三佛圖>를 통해 본 조선후기 불화의 新樣式 (The New Sty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釋迦 三佛圖(Seokga Three Buddhas Preaching Paint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10
24P 미리보기
인천 송암미술관소장 &lt;釋迦三佛圖&gt;를 통해 본 조선후기 불화의 新樣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4권 / 219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형곤

    초록

    인천송암미술관소장 <석가삼불도>는 화면 상부에 선묘로 그려진 석가삼불과하부에 채색으로 그려진 백의관음보살이 결합된 조선후기 불화의 독특한 사례 중하나이다. 본 논고는 송암미술관본의 화풍(畵風, painting technique)을 통해 제작시기와 제작지역을 추정해보고 도상의 특징와 선묘와 채색의 혼용이라는 관점으로 작품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송암미술관본은 작품의 화기가 현재 먹으로 칠해져 있어 제작시기, 지역, 봉안처, 작가 등의 정보를 알 수 없다. 제작기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화면 상부의 선묘의 석가삼불과 채색의 백의관음보살 부분을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우선선묘로 그려진 석가삼불의 화풍은 18세기중반에 제작된 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아미타설법도>(1759)와 일본 도쿄박물관소장 <아미타삼존도>(1766)의 표현기법을 공유하고 있을 만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특히, 선의 흐름과 채색을 대신해 공간을 가득 채우기 위해 사용된 무늬의 표현은 위 두 작품을 제외한 18세기선묘불화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채색의 백의관음보살 역시 백의관음의 자세와 일부 모티브에서 18세기 중반이후 불화의 화풍을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풍의 특징을 볼 때, 송암미술관본의 제작시기는 18세기후반경으로 미루어봐도 무리는 없을 듯 하다.
    19세기에 집중된 설법도 형식에 등장하는 관음보살의 도상은 19세기의 대표도상으로 인식되어져 왔고 대표적으로 삼성리움미술관소장 <아미타설법도> (1803년경), 홍익대학교박물관소장 <아미타설법도>(1830)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송암미술관본의 제작시기가 18세기인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도상의 등장은19세기 조선불화의 특징도 아니며, 19세기 불교신앙의 형태와도 뚜렷한 관련성을 부각시켜 도상의 등장배경을 설명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오히려 작품속에서 확대된 관음보살의 시각적인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송암미술관본의 관음보살은 다른 작품들에 비해 영역이 현격히 확대되었고, 선묘와 채색을 구분하여 마치단독의 관음보살도를 보는 듯 한 인상을 지울 수 없을 만큼 관음의 존재를 부각시켜 놓았다. 특히, 화면 하부 전체를 파도로 배경처리를 한 점은 이전 사례들과 분명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요소들은 관음이라는 중생 구제의 대표적인 보살을시각적으로 강하게 부각시킨 작가의 작화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암미술관본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화면의 대칭성이라는 조선후기 불화의 보편성에서 탈피하였다는 점이다. 화면 상부 왼쪽에 표현된 좌상의 지장보살은 화면 상부 오른쪽의 타방불과 대칭적으로 등장한다. 일반적으로조선후기 설법도 형식의 불화에서 화면 상부에 등장하는 타방불은 대칭적으로 좌우에 등장하기 마련이다. 이에 반해 송암미술관본은 타방불이 있어야 할 위치에지장보살을 배치함으로써 비대칭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석가삼불의 설법 장면이작품의 주제로 부각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지장보살의 존재를 화면 상부에 과감히 부각시켜 놓은 독특한 사례이다. 아울러 한 화면에 두 개의 주제를 구분하기위해 선묘와 채색을 혼용한 조선후기 보기 드문 불화라는 점도 송암미술관본의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영어초록

    Seokga Three Buddhas Preaching Painting owned by Songam Art Museum in Incheon is one of the distinct Buddhist drawings created in late Joseon dynasty to be combined Seokga Three Buddhas painted by line drawing on the upper canvas and White-robed Avalokitesvara painted by coloring on the lower canvas. This study is aiming to estimate its production date and area through painting technique of painting in Songam Art Museum and understand the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ombined application between line drawing and color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its icon.
    The painting information of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had been covered by ink and it could not be recognized its information about production date, area, enshrinement place, and painter. To estimate the production date, Seokga Three Buddhas as line drawing placed on the upper canvas and White-robed Avalokitesvara as coloring should be considered thoroughly. The painting technique of Seokga Three Buddhas has been relevance to <Amitabha Buddhas Painting>(1759) created in the mid 18th century and owned by Dongguk University Museum and <Amitabha Triad Painting>(1766) owned by Tokyo National Museum in Japan because it has shared the technique of expression with them.
    The pattern expression to fill the empty area instead of line and coloring has been appeared only two pieces above among line drawing Buddhist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White-robed Avalokitesvara has been also accepted the painting technique that is after mid 18th century for the posture of White-robed Avalokitesvara and some motiv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 of painting technique,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might be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icon of Avalokitesvara appearing in the Buddhas Paintings created in the 19th century has been recognized as the typical icon in the 19th century.
    <Amitabha Buddhas Painting>(1803) owned by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Amitabha Buddhas Painting>(1830) owned by Hong-ik University Museum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To consider that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had been created in the 18th century, however, these works did not contain the characteristic of Joseon dynasty's Buddhist drawings. In addition, it could not be explained its background of appearance by highlighting clear relations with the type of Buddhism in 19th century. It has needed to focus on the visual change of Avalokitesvara that was expanded in the work. Avalokitesvara in Songam Art Museum had been expanded its area more than other works and it had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Avalokitesvara by dividing into line drawing and coloring as if people see the painting only for Avalokitesvara. The background of the lower part were full of wave and it was big difference to compare previous case specially. It might be understood that these factors has reflected the painter's intention to highlight the Avalokitesvara as the representative salvation for all people.
    Moreover,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is that it has broken the universality of Buddhist paintings in late Joseon dynasty as the symmetry of the picture. Kristigarbha as a seated image on the left upper canvas has been placed on the symmetrical position of the Buddha of different direction which is placed on the right upper canvas. In the Buddhas Painting in late Joseon dynasty generally, the Buddha of different direction placed on upper canvas used to be placed on either side of the canvas symmetrically. However, in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Seokga Three Buddhas had been placed on where the Buddha of different direction should have been placed. It showed asymmetrical structure. It is an unusual case because the existence of Kristigarbha had been focused to be placed on the upper canvas even though the scene of Buddhist sermon by Seokga Three Buddhas should have been focused as the theme of the work. In addition, using line drawing and coloring to divide two theme on the one scene might be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work in Songam Art Museum because it is unusual Buddhist painting in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