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中ㆍ下代 鎭·道·府의 설치와 체제 정비 (Establishment of Jin(鎭), Do(道), and Bu(府) and the Restructuring of Their Systems during the Mid-to Later Shilla Perio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02
39P 미리보기
신라 中ㆍ下代 鎭·道·府의 설치와 체제 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1권 / 349 ~ 387페이지
    · 저자명 : 한준수

    초록

    宣德王 사후 즉위한 원성왕은 강력한 왕권의 유지를 위해 政法典을 정비하고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정치적 연합을 통해 하대를 개창하였지만 선덕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정치 상황에서 새로운 정치적 구심점을 향한 그의 의도는 표면화되었고 정치적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구족왕후를 출궁시켰다. 중앙의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지방에 대한 통제도 확고히 하고자 했다. 통일기에 정비되었던 기존 지방 제도의 틀이 그대로 존치되는 한 새로운 시대 변화에 부응하기는 어려웠으므로 수취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방 제도를 효율성 도모 차원에서 새로이 정비하고 그 대안으로 부를 도입하였다.
    당시 신라 하대는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새로운 변화의 시기였다. 8∼9세기 대외 교역의 증가로 교통로가 증설되고 기존 5소경을 축으로 하는 교역로는 다양해졌다. 해상 교역이 확대됨에 따라 육상 교통 주요 거점으로서 지방 통치와 지방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던 5소경의 위상과 기능에 변화가 나타났다. 흥덕왕릉 비편에 무역이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될 정도로 신라 사회가 경제적 변혁에 위치하였던 만큼 5소경은 기존의 기능에 시대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지방 지배 거점으로 등장하게 된다. 부의 설치가 그것으로 조직은 대체로 州나 小京과 유사한 위계조직으로 정비되었는데 기존 州나 小京의 기능을 그대로 계승하며 존속되었고, 신설된 경우는 기존 부의 조직과 유사한 관부체계를 성립시켰다. 그리고 부의 설치와 더불어 군진의 정비도 이루어졌다. 김암의 예를 통해 신라 중대 말에 이미 패강진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경덕왕 16년 군현 개편 이후에도 체제 개편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새로운 지방 통치 방식이 시범적으로 시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고려 왕조를 창업한 왕건 세력이 성장한 사실은 패강진이 기타 지역과는 다른 방식으로 통치되고 있었음을 추측케 한다.
    패강진이 외형상 鎭으로 표현되기는 하였지만 내용상 州와 等價性을 보이는 것은 단순한 군사 시설의 격을 넘어 기능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은 패강진의 관원조직 고찰을 통해서 보다 명확해진다. 대곡성을 중심으로 한 패강진은 군사 시설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이 지역의 통괄적 책임을 맡고 있던 것이다. 그러므로 패강진은 기존에 존재했던 신라의 행정 혹은 군사적 제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새로운 지방 통치 제도의 편린이라 하겠다. 나아가 이들 군진은 자체 보유한 군사 조직을 바탕으로 신문왕대 정비된 10정을 대체하여 갔던 것으로도 생각된다.
    또한 신라는 唐에서 시행하던 道를 도입하여 지방 통치의 한 단위로서 실제 행정에 적용하고 있었다. 사료상에 보이는 十道, 五道, 十二道 등의 사례는 단순히 방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방 행정 구역으로서의 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당시 唐이나 日本이 道制를 시행한 사실과 신라가 이들의 교류에 중간적 위치를 점했던 상황을 바탕으로 할 때 그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고 하겠다. 다만 신라 사회의 여러 특질로 인해 공식적 행정 단위로 존재하지는 못하고 관념적 차원에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King Wonseong(元聖王) who was crowned after the death of King Seondeok(宣德王) reorganized Jeongbeopjeon(政法典, the orthodoxy code of laws) and executed Dokseosampumgwa(讀書三品科, a public officer selection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powerful royal authority. Although the king began the latter period through a political coalition, his intention toward a new political center amid the political situation in which King Seondeok existed no more, was made evident, and he expelled Queen Gujok(具足王后), who could have been a political obstacle, out of the palace. He intended also to secure control over local areas based on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it was difficult to bring a change for a new era as long as the framework of existing local systems, which were reorganized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remained intact, he newly reorganized the local system closely related to the taxation and collection structure,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efficiency, and introduced Bu(府) as its alternative.
    The latter Shilla period was an age of a new change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raffic routes were increased due to the rise in international trading during the 8~9th centuries, and trading routes that were around the existing 5 sogyeong(5小京, local capitals) became diverse. The expansion of sea trade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status and functions of the 5 sogyeong that played the role of the center of the local governance and the local culture as key strategic points of ground transportation. As much as Shilla’s society was poised in the economic reformation as to the word, trading, had been widely used in the epitaph of a royal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5 sogyeong came to appear as new strategic points for local governance by reflecting changes of the times to existing functions. The establishment of Bu was one of the cases, and its organization was restructured as a hierarchal organization similar to Ju(州) or sogyeong(小京), in general. It continued while inherit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an existing Ju or sogyeong; and when it was newly established, it constituted a governmental Bu system similar to the organization of existing Bu. Also, the restructuring of military-Jin(軍鎭) was accomplished along with the setup of Bu. The example of Kim-Ahm(金嵓) shows that Paegang-Jin(浿江鎭)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mid-Shilla period, which means the restructuring of the system continued eve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Gun(郡) and Hyeon(縣) during the 16th year of King Gyeongdeok(景德王, 757), and a new type of local governance had begun as an exemplary model. In particular, the fact that Wang-Geon(王建), who founded the Goryeo(高麗) dynasty, gained growing power, suggests that Paegang-Jin had been ruled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areas.
    Although Paegang-Jin was expressed as a Jin(鎭) in its appearance, it was equivalent to a Ju. This is probably because Paegang-Jin was functioning by exceeding the level of a mere military facility. This fact is clearer through a review of the government officials’ organization of Paegang-Jin. Paegang-Jin, centering around Daegokseong(大谷城), was responsible for the supervision of the region as well as its function of the military facility. Therefore, Paegang-Jin may be a fragment of a new local governance system that demonstrates a different pattern from either the existing administrative or military system of Shilla. Further, these military Jin were supposed to begin replacing 10 military units(10丁), which were restructured during the King Shinmun(神文王) period, based on a military organization that these military-Jin had owned independently.
    Also, Shilla introduced a province that was executed in Tang, and applied it to actual administration as a unit of local governance. The cases of ten Do(10道), five Do(5道), and twelve Do(12道) shown in historical documents do not simply indicate directions, but as a specific local administrative zone. Based on the situation where Tang(唐) or Japan at that time enforced the provincial system, and Shilla took an intermediary stance between their exchanges, its possibility may be prett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exist as an official administrative unit owing to various traits of the Shilla society, but was developed on an ideological dim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