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강화도 鎭堡의 운영과 屯田策의 추진 (The Operation of the Ganghwa-do(江華島)’s Jin-Bo(鎭堡) and The Pursuit of Garrison Farm Policy(屯田策))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3
42P 미리보기
17세기 강화도 鎭堡의 운영과 屯田策의 추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6호 / 133 ~ 174페이지
    · 저자명 : 송양섭

    초록

    양란 이후 군비확충책의 일환으로 설치된 강화도 진보의 운영에는 막대한 재원이 給代의 형태로 조달되었는데 이는 병조에게 커다란 재정적 부담이었다. 이 때문에 병조의 급대를 대체하기 위해 목장에 대한 둔전설치나 開墾·築堰의 추진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었다. 대대적인 물력이 투입된 船頭浦 築堰은 그 대표적인 예였지만 그로부터의 소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진보운영이 부실해지고 병조의 재정압박이 심해지자 牧場設屯策은 다시 추진되어 마침내 숙종 34년(1708) 유수 박권에 의해 실현되기에 이른다. 이 때 北一·鎭江 두 목장이 모두 둔전으로 개간되었으나 경영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募入된 流民이나 軍卒들의 생계기반이 취약하여 뿌리를 내리지 못하였고 地主·官屬들의 屯田私占이 공공연히 자행되었다. 특히 지주세력은 둔전을 내적으로 장악하여 사적 소유지로 여기다시피 했고 이에 걸 맞는 수준의 지대를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책동하였다. 둔전의 지대율을 점차 낮아져 갔으며 이 때문에 둔전경영을 통해 확보한 수입이 급대를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토지에 기반한 군수조달이 어려움에 직면한 가운데 급대는 고스란히 병조의 부담으로 남겨졌다. 왕조의 군사재정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After the Imjin and Byungja Wars, the operation of the Ganghwa-do’s JinBo(鎭堡), which were installed as part of the expansion of the armaments, was financed as the form of Gupdae(給代) and it was huge financial burden for the Ministry of War(兵曹). For this reason, a variety of measures have been taken to replace the Ministry of War’s Gupdae(給代), such as the installation of a garrison farm(屯田) for the ranch, and the promotion of land reclamation and dike construction(築堰). One of the typical example was the dike construction of Seondupo(船頭浦), however, the yield from it did not meet expectations. As the operation of Jin and Bo became poor and the financial pressure of the Ministry of War became worse, the policy of MokjangSeoldun(牧場設屯策) was promoted again and finally came to be realized by Park Gwon in 34th year of King Sukjong(1708). At that time, the two farms of the Bukil(北一) and the Jingang(鎭江) were all reclamated as a garrison farm, however management was not smooth. The livelihood base of the migrants and militaries were weak and it did not take root. And the landowners and official’s private occupation of a garrison farm was carried out publicly. Especially, the landowner forces took the garrison farm and kept it as a private property, and constantly collected the land rent tax that is suitable for it. The land rent tax rate of the garrison farm was constantly going down, and for this reason, the income secured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garrison farm was not enough to replace the Gupdae(給代). Faced with difficulties in procuring munitions based on land, the Gupdae was left to the burden of the Ministry of War. The military finance of the dynasty could not find a new breakthrough and was in a dilem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