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천의 측면에서 본 顔元과 陶行知의 교육사상 (The educational thought of Yan Yuan(顔元) and Tao Xingzhi(陶行知) from the viewpoint of practi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12
24P 미리보기
실천의 측면에서 본 顔元과 陶行知의 교육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66호 / 317 ~ 340페이지
    · 저자명 : 김덕삼, 이경자

    초록

    본고에서는 실천적 교육사상을 중시한 明末淸初의 顔元과 淸末에서 民國時代를 살았던 陶行知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들의 성장 배경, 사상 형성 과정, 사상적 同異를 통해 변화의 시기를 겪고 있는 우리의 현실과 교육에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탐색해보았다. 안원과 도행지는 동란의 시기에 살면서 교육적으로 실천을 기초로 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당시 사회와 국가의 衰落 원인을 性理學 중심의 교육과 봉건주의 교육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원은 習行을 도행지는 生活敎育을 제시하며,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이들은 교육에 있어 實踐을 중시하였다는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실천을 교육에 접목하는 과정과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지닌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안원이 교육에서 習行을 중시한 것이나 도행지가 생활을 중시한 것은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교육을 통해 당시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올바른 교육의 본질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형태로 있지만 이것이 사용되어질 때는 구체적인 언어로 각자의 눈높이에 맞춰 드러나야 한다. 안원과 도행지는 이것을 당시 처한 사회적 상항에 근거하여 습행과 생활로 표현하였다. 안원과 도행지의 실천사상은 서로 괴리감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당면해있는 현실에서 교육의 본질에 의거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idea of two representative educators in China who emphasized practical educational thought. The one is Yan Yuan(顔元) who lived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and the other one is Tao Xingzhi(陶行知) who lived in the era from the late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For that purpose, I studied the background of their growth, ideological formation process, ideological similarity.And, with this, I wondered what lessons the ideas of two person gave to our life and education experiencing the changing times.
    They lived in the era of the East and propose a methodology based on practice. A methodology based on educational practice. was presented by this two educator who lived in the period of turbulence. In this paper, their thoughts centered on practices i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examining the problem raising, concentrating problems and exploring solutions, and presenting their own solutions. They found the cause of decline of the society and the state in the education centered on Neo-confucianism and feudalism as the cause of the decline of society at the time. As a way to overcome this Yan Yuan(顔元) presented the methods of practice and practical philosophy(習行) and Tao Xingzhi(陶行知) presented life education which were applied to the site. Although there is a common point that these two educational thought emphasizes practi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and method adopted in education practice. Ultimately, Yan Yuan(顔元)’s emphasis on practical philosophy(習行) in education and Tao Xingzhi(陶行知)’s emphasis on life education does not have its own purpose, but rather attempts to overcome social problems of the day through appropriate education. The essence of proper education is generally abstract, but when it is used, it must be presented in concrete language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s eye. They expressed this as practical philosophy(習行) and life in education. Of course, the criteria are based on the situation they are in. Therefore, there is a sense of divergence even though their thoughts of education are classified in the same practical thought. In the end, the lesson they give us is not in the practice itself, but in the reality we are in, we have to solve the real problem based on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they reminded us that it is our burden to present it in a specific language according to the height of our own ey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