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陶菴 李縡 碑誌類 문장의 일고찰— 신도비를 중심으로 — (A study about Doam(陶菴) Leejae(李縡)’s epitaph – Focusing on memorial stone’s epitaph)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1
36P 미리보기
陶菴 李縡 碑誌類 문장의 일고찰— 신도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54호 / 69 ~ 104페이지
    · 저자명 : 권진옥

    초록

    본고는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남긴 비지류(碑誌類) 문장에 주목하되 신도비(神道碑)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암집(陶菴集)』에는 4권에 그치는 한시에 비해 46권이 모두 산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문 가운데서도 편지글과 비지류 문장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이재의 당파적 입지나 학자적 위상의 방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재가 비지류 문장을 많이 남긴 것은 17세기 이후 비지류 문장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재가 살던 당시에는 그의 비지류 문장이 매우 각광을 받았으며, 또한 그 문학적 성취는 전장류와 비지류 문장에서 전범이 되는 사마천(司馬遷)과 구양수(歐陽修)에 비견될 정도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재는 총 32명에 대한 신도비를 남겼는데, 친족과 외척, 당파적 동류, 스승 등에 이르기까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인물들이 신도비의 주인공이다.
    2장에서는 이재의 신도비를 분석하기에 앞서 그가 지향한 문학론, 문학론 가운데 한문 산문을 위시한 문장론을 살펴보았다. 우선 그의 문학론은 작자의 덕성, 인품을 강조하는 자질론, 도를 전하고 의리에 근본해야 하는 당위를 주장한 도본문말론(道本文末論), 세교(世敎)와 교인(敎人)으로서의 문학의 기능을 일정정도 인정하는 효용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그의 문장론은 문장 학습의 전범 측면에서 확인하였고, 그 전범의 대상은 사마천, 한유(韓愈) 그리고 주희(朱熹)였다.
    3장에서는 이재의 신도비 가운데 그가 문장의 전범으로 삼았던 한유와의 연결점을 확인케 하면서 동시에 규격화된 신도비 문체를 벗어나 문학성을 추구한 작품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는데, 이상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오중주를 위해 쓴 「좌윤오공신도비(左尹吳公神道碑)」이다. 이 작품은 구성적인 측면에서 한유의 비지류 문장을 계승한 점이 확인되고,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신도비의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내었다. 특히 이 작품을 분석하는 잣대로 김창협 비지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엄(簡嚴)에 주목하였는데, 편장 구성에서의 간엄은 곧 묘주의 진면목을 간단하고 요령 있게 드러내는 구성 원리라고 정의하였다. 「좌윤오공신도비」는 간엄을 성공적으로 구사하여 문학적 성취를 획득했으며, 또한 비지류 문장의 고정된 형식을 벗어나기 위해 서술 전개 방식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키고, 시간적 착종이나 서사․의론의 착종을 사용하며, 대화나 일화를 통해 생동감을 자아내는 등 작자가 문학성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비지류 문장의 작자는 유묘(諛墓)의 유혹과 공기(公器)의 엄정함에서 고민하기 마련이다. 은악양선(隱惡揚善)이 비지류 문장의 미덕이라고 하지만, 진실이 결여된 묘주의 형상화는 결코 문학성을 보증할 수 없다. 이면백(李勉伯)은 「비지설(碑誌說)」에서 비지류 문장을 짓는 작자의 올바른 자세를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묘주 그 사람만이 가진 실상을 찾아내어 사실대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이런 본질적인 의미에서 이재의 「좌윤오공신도비」는 성공적인 비지류 문장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of memorial stone’s epitaph among the epitaph contained in collection of Leejae(李縡)’s works, Doamjip(陶菴集). He left epitaph works a total of about 32 people, including paternal relatives, maternal relatives, factionists, teachers, and so on.
    In Chapter 2, before analyzing his epitaph works, examined the literary theory. In addition, examined the theory of Chinese prose in literary theory. His literary theory is the traits theory that emphasizes the virtue and personality of the author, the Dobonmunmal(道本文末) theory that passes on the truth(道) and asserts the justify(義理), the utility theory that educates the world and the people. His Chinese prose’s theory were confirmed by the canon, and the canon were Sama, cheon(司馬遷), Han, yu(韓愈) and Ju, hei(朱熹).
    In chapter 3, we searched for the works which pursued the literature beyond the standardized memorial stone’s epitaph style, at the same time, which is identified the connection points with the Han, yu(韓愈).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the work is jwayunogongsindobi(左尹吳公神道碑) for (吳重周).
    This work inherited Han, yu(韓愈)’s epitaph works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and achieved literary achievement due to this fea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the ganeom(簡嚴) theory that is core of Kim, changhyup(金昌協)’s epitaph theory. The ganeom(簡嚴) of composition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simply reveals the truth of memorial stone’s main character. This work succeeded in achieving literary achievement by successfully using the ganeom(簡嚴), and intentionally changed the narrative in order to escape the fixed form of the epitaph works, used the time complexity and narration- argument complexity, made a vividness through dialogue and anecdotes. These are the writer’s efforts to pursue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