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馬祖의 道不用修에 대한 批判的 고찰 (A Critical Study on Mazu Daoyi(馬祖道一)'s "Truth Requires No Training(道不用修)")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5
30P 미리보기
馬祖의 道不用修에 대한 批判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4호 / 31 ~ 60페이지
    · 저자명 : 서재영

    초록

    馬祖道一(709~788)은 祖師禪의 선풍을 크게 일으킨 唐代의 위대한 禪僧이다. 마조의 사상은 卽心卽佛, 平常心是道, 道不用修 등으로 대표된다. 마조는 마음이 일체 모든 존재의 근본이며, 마음이 곧 부처라고 설했다. 특히 그 마음이란 부처와 같이 어떤 초월적 존재의 마음이 아니라 중생의 일상적 마음이 그대로 부처라고 했다.
    마음이 곧 부처이고, 중생의 일상적 마음이 곧 道라면 굳이 힘들게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사라진다. 여기서 ‘도는 수행을 필요치 않는다(道不用修)’라는 마조의 수행론이 등장한다. 일상의 마음이 곧 부처라면 굳이 애써 도를 닦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조의 이런 가르침은 그의 사상을 계승한 洪州宗은 물론 조사선의 전통에서 중요한 위상으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평상의 마음이 도라든가, 도는 수행을 필요로 하지 않다는 가르침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번뇌로 오염된 마음을 부처라고 생각하고, 수행도 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도인 행세를 하는 병폐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는 마조의 사상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나타나는 폐단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이 곧 부처라는 卽心卽佛은 부처를 밖에서 찾지 말라는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六祖惠能 이후 선종의 수행은 마음을 닦는 것이 더욱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많은 수행자들이 여전히 몸에 집착하거나, 부처를 자기 밖에 있는 초월적 존재로 생각했다. 마조는 이와 같은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마음이 부처라는 방편설을 제시했다.
    나아가 도는 닦을 필요가 없다는 것 역시 수행을 부정한 것으로 볼 수 없다. 마조 문하의 수많은 수행자들은 여전히 좌선 등의 수행에 열중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마조의 가르침에 대해 문자적 의미 그대로 읽으면 현실적으로는 여러 가지 폐단이 나타난다. 따라서 문자적 의미를 넘어 그런 수행론을 제기하게 된 취지를 바로 파악하는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Mazu Daoyi (⾺祖道⼀, 709~788) was a zen priest that created a great sensation about patriarchal zen during the Tang Dynasty. His ideas are represented by "The mind is Buddha (卽心卽佛)", "The ordinary mind is the truth (平常心是道)", and "Truth does not need to practice (道不⽤修)". He said that the mind was the basis of every being and Buddha. For him, the mind was not found in some transcendent beings like Buddha.
    If it is true that the mind is Buddha and that the ordinary mind of an ordinary person is truth, there will be no need to train one self hard. Here comes Mazu Daoyi's training theory that "The mind is Buddha", "Truth does not need to practice". As far as he is concerned, there will be no need to make efforts for self-cultivation toward truth if one's ordinary mind is Buddha.
    However, face many different problems if he or she takes his teachings, which include that an ordinary mind is a truth and that does not need to practice, just literally. If one refuses to practice him or herself and acts like an ascetic based on the belief that his or her mind contaminated with anguish is Buddha, he or she will engage in an evil practice.
    This is a negative effect one will face when taking Mazu Daoyi's ideas literally. His teaching "The mind is Buddha", which means that the mind is Buddha, tells people not to find Buddha outside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