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신선도>에 내재된 생명관 - <遙池宴圖> - 를 중심으로 - (An Aesthetic viewpoint of Life inherent in <神仙圖Shenxiantu> during the late Chosun - focus on <瑤池宴圖Yaochiyantu>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8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lt;신선도&gt;에 내재된 생명관 - &lt;遙池宴圖&gt; - 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2호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조선후기 18-19세기에 유행한 <神仙圖>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사회적 혼란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궁중회화에서 민간으로 확산된 <神仙圖> 계열의 회화가 국가의 명운이 위기에 처한 대한제국 시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생명력의 지속에 대한 열망으로 더욱 유행하였다.
    <瑤池宴圖>에 등장하는 서왕모는 모든 신선의 우두머리로 <神仙圖>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왕모는 음양의 조화를 아우르는 영원한 생명력의 화신으로 숭배되었다. 신선사상의 시원을 이루는 서왕모 신앙은 반인반수의 신적인 존재인 무속설화로 시작되었으며, 이를 수용한 『태평경』과 갈홍의 『포박자』 등 여러 도교 이론서와 『西遊記』와 『東遊記』등 소설의 영향으로 윤색과 각색으로 변모 되었다. 그 변모는 영원히 늙지 않고 젊고 아름다운 존재로 바뀌어 무병장수의 생명력을 주관하는 신선이 되었다. 서왕모는 자신이 거처하는 곤륜산 낭풍원에 있는 반도원의 반도를 통해 장생을 희구하는 인간에게 영원한 젊음의 생명력을 나눠주는 능력과 역할을 극대화하였다.
    조선후기 <神仙圖>에 내재된 생명관은 서왕모가 주인공인 <遙池宴圖>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숙종 이전부터 회화와 자수 등에 등장하여 궁중에서 민간으로 확산되었으며, 국가와 민중이 생명을 위협받는 위기에 처했을 때 그 생명력을 지속하는 대안으로 <神仙圖>가 유행하였다. 조선후기에 유행한 <神仙圖>의 중심에는 <遙池宴圖>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후기 18-19세기에 유행하기 시작한 <神仙圖>와 <遙池宴圖>는 사회적 혼란기에 해당하며 이후 나라가 어지러웠던 대한제국 시기부터 일제강점기 동안 임금의 만수무강과 무병장수, 더 나아가 왕조의 영원을 기리기 위해 궁중 헌납용으로 많이 그려졌다. 즉 생명에 대한 위기의식이 느껴지는 사회적 혼란기에 도교의 신선사상이 크게 유행했다고 할 수 있다.
    <遙池宴圖>의 주인공인 서왕모는 신선설화의 시원을 이루는 서왕모 신앙의 무속설화로 시작되었으며, 이를 수용한 여러 도교이론서가 출현하게 되어 도교라는 새로운 종교가 정립되었다. 『山海經』등의 무속신화로 출발한 서왕모 신앙은 유한한 존재인 인간의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환기시키는 근본적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what the painting <神仙圖Shenxiantu>, especially <瑤池宴圖Yaochiyantu> means in the late 18-19th century to the Chosun Dynasty. At that time <神仙圖Shenxiantu> emerged with a social disorder after undergoing the Imjin War in 1592 and Byeongjahoran in 1636. Paintings and Embroidery in the series of <神仙圖Shenxiantu> which spreaded from a court painting to a private area like 民畵Min hua were becoming in fashion with desire for the continuation of Life during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involv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Queen Mother of the West(Xi Wangmu) has basically been described by the chief of all Shenxian and played a key role in Shenxiantu. She was worshiped as the incarnation of the eternal vitality managing the harmonization of 陰陽YinYang and the root of Taoist. Such a fantastic figure at first appeared on a narrative as a divine being of half man and half beast. Later, it was not only accepted in many theoretical books of Taoism like 『太平經TaiPingJing』 and 『抱朴子Baopazi』 by 葛洪Ge-hong, but also ornamented and transformed in such a novel like 『西遊記Xiyouji』 and 『東遊記Dongyouji』. Through these transformations, Xi Wangmu became a character with immortal life, young and beautiful, which manages power of Life of health and longevity.
    The perspective of Life inherent in <神仙圖Shenxiantu> which features Xi Wangmu emerged centering around Yaochiyantu in the late Chosun. As we have seen, there was huge prevalence of the painting of the series of <神仙圖Shenxiantu> which helps people to come over that situation, and continue their liveliness.
    The Yaochiyantu prevailing In the 18-19th century to the late Chosun dynasty went through social disorder 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have frequently been painted as a court offering in hope of eternity of Chosun dynasty, and king as well. That is, Shenxian Taoism prevailed in the turmoil which risks the instinct of human existence. A narrarive about Xi Wangmu became established in a kind of religion, and it brought the emergence of Taoism with the arrival of theoretical books of Taoism. Thus, It could be stated that Xi Wangmu myth from 『山海經』 provided the critical occurrence to stir up respect and awe for mortal human existence through the transcendent being like Shenxi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