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의 花郞徒와 風流道 (Hwarangdo(花郞徒) and Poongryudo(風流道) of the Shilla(新羅)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1
34P 미리보기
新羅의 花郞徒와 風流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87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최광식

    초록

    中古期에 화랑도는 원화에서 보듯이 토착종교적인 집단으로 시작하여 戰歿將兵을 추모하기 위한 八關會의 의례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통일전쟁 중에는 斯多含과 官昌과 같이 개인적으로 종군하여 군공을 세우는 경우도 있었다. 金庾信의 경우 화랑도 시절에 中岳 석굴에 들어가 토착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불교와 유교 및 도교를 배우고 익히는 風流道를 이미 相磨以道義하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통일전쟁이 끝나고 난 뒤 화랑도는 교육적 성격과 인재 등용의 성격이 강해지며, 향가를 짓고 향가의 칭송을 받는 대상이 되어 相悅以歌樂하는 풍류의 면모를 보이게 된다. 국선 夫禮郞이 낭도들을 거느리고 금강산에 유람을 갔다가 靺鞨賊에게 붙잡혔다가 돌아왔는데 끝까지 쫒아간 安常은 大統으로 임명하고 그대로 돌아온 낭도들에 대한 포상이 없는 것을 볼 때, 遊娛山水하며 사람됨을 보아 관리로 천거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낭도인 得烏谷은 화랑인 竹旨郞을 위하여 慕竹旨郞歌를 지었으며, 忠談師는 讚耆婆郞歌를 지어 향가가 화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화랑이 직접 향가를 지었다는 것을 파악하여 相悅以歌樂하는 風流道의 전통을 확인하였다.
    신라 下代에는 군사적 실력에 의해 왕위쟁탈전이 벌어지고 중앙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화랑도는 정치적 세력화하여 景文王의 예와 같이 왕을 직접 배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왕이 되려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 範敎師의 경우을 보면 相磨以道義의 전통이 무너지고 있다고 보았다. 토착신앙을 기반으로 유교와 불교 및 도교를 모두 포함한 玄妙之道의 風流道를 개념화함으로써 쇠퇴해지는 상황에서 최치원은 鸞郞碑의 서문을 통하여 풍류도의 진정한 부활을 바랐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치원은 「鄕樂雜詠」 5首를 남겨 鸞郞과 그의 낭도들이 직접 연희를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어 화랑도의 변화상의 일단을 살필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기록들을 보면 신라가 멸망하고 나서도 화랑도와 풍류도의 전통은 지속되었으나 놀이적 기능만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고려시대 이후는 ‘풍류도가 아니라 ‘풍류’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Hwarangdo(花郞徒) and its guidance ideology, Poongryudo(風流道). Hwarang(花郞) started from the religious group to perform the ritual(八關會) for the war dead. But in time of unification war, they personally followed the army and distinguished themselves in war like Sadaham(斯多含) and Gwanchang(官昌).
    Poongryudo is the guidance ideology of the Hwarangdo and is the combin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based on the indigenous religion. In case of Kim Yooshin(金庾信), he learned the Poongryudo at the time of his Hwarangdo in Joong-ak(中岳) cave.
    After the end of the unification war, Hwarangdo focused on the role of education and selection of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They not only wrote Hyang-ga(鄕歌), but were also praised in Hyang-ga. This article verified the selection role in the episode of Booyerang(夫禮郞). When GookSun(國仙, National Hwarang) Booyerang traveled the Mt. GeumGang(金剛山) with the followers, they are captured by Malgal(靺鞨) tribe. He recommended Ahn Sang(安常) for government official. Ahn Sang endeavored to chase Malgal tribe while other followers returned. This article also argued the strong relevance between Hwarangdo and Hyang-ga in the episodes that Deukohgok(得烏谷 )wrote the Mo Jookjirang-ga(慕竹旨郎歌) for his colleague Jookjirang(竹旨郞 )and Choongdamsa(忠談師) wrote Chan Giparang-ga(讚耆婆郎歌).
    As the struggle for the throne by the military power arose and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was weakened in late Shilla(新羅), Hwarangdo became the political group. King Kyungmoon(景文王) was risen to the throne as a hwarang gooksun. However, in the case of Beomgyosa who was willing to be the king by fair means or foul, the moral practicing tradition of Hwarangdo was diminished. Choi Chiwon(崔致遠) wished the true renaissance of the Poongryudo in the introduction of Nanrang Stele(鸞郞碑). In addition, in his another writing, Hyang-ak-jab-young(鄕樂雜詠), the changing aspect of Hwarangdo is seen that hwarang presented performances on the stage. According to the records of Goryeo(高麗) Dynasty, the tradition of only Poongryu(風流) continued after Shilla collap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