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특수조사 ‘도’와 몽골어 대응표현 ‘ч’의 분포 비교 연구 (A Study on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ecial Particle ‘Do(도)’ in Comparison to its Mongolian Counterpart ‘ч(Č)’)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2
33P 미리보기
한국어 특수조사 ‘도’와 몽골어 대응표현 ‘ч’의 분포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60호 / 309 ~ 341페이지
    · 저자명 : 박상택

    초록

    한국어 특수조사 ‘도’에 관하여 대개의 연구자들은 의미첨가 기능을 주목하고 ‘보조사’ 또는 ‘특수조사’ 등의 이름으로 정의하고 해당 특수조사의 의미적 특성과 기능에 주목하여 취급하였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화용적인 특성 파악에 연구가 집중되어 화자의 심적 상태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기능요소로 판별하여 규정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물론 의미적 기능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통사적인 문법기능에 대한 연구는, 의미적인 다양한 문맥과의 호응 고찰 등에 비해서 만족할 만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수조사 ‘도’와 대응할 수 있는 표현인 몽골어 ‘ч’에 관해서도 몽골학자들 역시 한국의 ‘도’에 대한 연구의 결과에서 더 나아가지 못한 유사한 정의와 기능에 주목하고 있을 뿐이다. 대부분 명칭에 관한 이견과 분류의 경계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문장에서의 분포나 통사적 특성에 관해서는 뚜렷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 경우가 드물며, 집중되고 있는 연구 또한 의미 부가나 강화의 역할을 하는 수식기능의 것으로 규정하는 것이 ‘ч’에 대한 연구 현실이다. 또한 이렇게 집중된 연구의 결과물들도 그 경계나 의미 기능에 관해 적지 않은 이견 대립을 이루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한국어 특수조사에 대한 연구 또한 경계 분류와 의미의 다양성으로 인해 초기 전통문법에서부터 집중된 관심이 있어왔다. 주로 특수조사의 ‘첨의(添意)’적인 특성으로 인해 의미나 형태적 형성과정에 끊임없는 연구의 관심들이 집중되었다. 이에 반하여 분포 특성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구명된 결과물이 눈에 띄지 않으며, 몽골어 특수조사와 비교를 통한 고찰은 발견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비교를 통한 조명은 개별연구에서 간과할 수 있는 한국어 특수조사의 ‘도’의 특성을 선명히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도’의 대응표현에 관한 연구 역시 의미와 직능 위주의 소수의 연구물 외에는 그 특성을 정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제안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조사 ‘도’와 대응표현 ‘ч’의 의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루지 않기로 하며, 분포적 개별 특성에 주목하여 어떠한 분포 양상을 보이며, 이들이 과연 변별되는 분포적 기능을 지니고 있는지를 양 표현 간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앞선 연구와 개념을 살피고 몽골인을 위한 한국어 특수조사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사전단계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여타 성분과의 결합분포를 통해 양국 표현의 차이를 살펴 양국 표현의 제약 형태의 다양함을 확인하기로 한다. 이러한 확인과정을 위해 특수조사 ‘도’와 조사와의 결합, 체언류와의 결합, 용언류와의 결합, 그리고 부사류와의 결합을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예문을 설정한 후, 대응문을 완성하고 비교를 통해 해당 실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한국어의 특수조사 간에는 결합이 허용되지 않는 반면에 해당 대응표현들이 몽골어의 경우에는 자유로운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연결어미와의 결합에서도 한국어의 ‘도’가 결합이 허용되는 것과는 달리 대응표현 ‘ч’는 연결어미와 공기할 수 없는 경우를 살피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정도부사와의 결합 형태에서도 표현을 나타내는 어휘의 수적 차이에 의해 양국 언어의 공기 양상 차이를 살필 수 있으며, 결국 이러한 개별 특질은 양국 언어의 독특한 특성을 설명하는 기제가 될 것임을 확인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distributive aspect of the special particle ‘Do(도)’ in Korean with that of its Mongolian counterpart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for Mongolians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discusses relevant characteristics to prevent troubles resulting from intervention of mother tongue in learning Korean special particles. In sum, each chapter discusses the following.
    Chapter 1 introduces previous studies and concepts. Specifically, previous studies on special particles are biased in favor of semantic characteristics, in which sense the aspects of distribution need be examined from a more extensive, not biased, perspective. In addition, applicability to teaching Korean special particles to Mongolians is suggested.
    Chapter 2 deals with differences in expressions between two languages via the distribution of combinations with particles. In terms of the special particle ‘Neun(는)’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 ‘бол,’ combinations between special particles are not allowed in Korean, whereas Mongolian counterparts are freely combined. For instance, in Mongolian language, when an objective is modified by a modifier, an accusative case marker occurs to enable the combination with ‘ч.’ Also, in Korean language, despite ellipses of comitative case markers, combination with ‘Do(도)’ is allowed, whereas Mongolian examples are characterized by not matching with ‘ч.’ Besides, Korean adnominal case forms are limitedly distributed in combinations with ‘Do(도),’ whilst Mongolian counterparts are freely combined with ‘ч’, indicating different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from Korean ‘Do.’ Moreover, ‘Man(만)’ and ‘Do(도)’ are possibly combined with each other, whereas Mongolian ‘л’ and ‘ч’ cannot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dicating a co-occurrence constraint. After all, restrictive forms in regard of distribution with particles vary between two languages.
    Chapter 3 describes the distribution of combinations with substantive words. Unlike Korean, Mongolian language has words that must co-occur in conditional sentences. Combination with ‘도(Do)’ is allowed in Korean despite ellipses of accusative case markers, whereas ill-formed sentences occur when accusative case markers are omitted in Mongolian language. Case particles are often omitted in combinations in Korean, whereas ellipses of case markers usually lead to ill-formed sentences in Mongolian.
    Chapter 4 delves into the distribution of combination with predicates. That is, concerning suggestions or requests, Korean is characterized by not matching with the special particle ‘Do(도),’ which differs from Mongolian, where passive sentences combined with ‘ч’ prove grammatically incorrect. At the same time, in respect of combined forms with transmutation suffixes, both languages show the sam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neither language allows any transmutation suffixes to be combined with adnominal forms.
    Chapter 5 determines the distribution of combination with adverbials. Adverbs of degree ‘Maiwoo(매우)’, ‘Aju(아주)’ and ‘Hweolssin(훨씬)’ cannot be combined with the special particle ‘Do(도),’ whereas Mongolian counterparts are found to make correct sentences, which is attributable to a smaller number of Mongolian counterpart express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particles in both languages by limiting its scope to ‘Do(도)’ and ‘ч.’ Unlike ‘Do(도)’ in Korean, ‘ч’ is likely to have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pragmatic uses that only native speakers can express and understand, considering which the present study has limitations as it deals with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only. Likewise, despite the presence of many highly applicable special particles, this study is focused on certain special particles only, which warrants continuous and extensive study efforts. It is important without doubt to acquire and teach language by comparing grammatical similarities. Nonetheless, in addition to applications of special particles characterized by similar distribution in linguistic expressions to Korean language, some special particles are possibly to have distinct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Hence, conceptualization based only on grammatical comparisons between special particles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paradigm enabling acquisition and use of special particles more easily than the way they asserted in the existing argument that “as special particles are characterized by strong heterogeneity, they should be acquired just like other words via memor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