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스 스타덴의 『진실한 이야기』(1554)에 대한 상이한 관점의 영화적 재현: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1971)와 <한스 스타덴>(1999) (Different Ideological Perspectives of Cinematographic Representation on Hans Staden’s True Story (1554): HowTastywasMy Little Frenchman (1971) and Hans Staden (1999))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12
27P 미리보기
한스 스타덴의 『진실한 이야기』(1554)에 대한 상이한 관점의 영화적 재현: &lt;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gt;(1971)와 &lt;한스 스타덴&gt;(1999)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4권 / 3호 / 35 ~ 61페이지
    · 저자명 : 임호준

    초록

    1979년 윌리엄 아렌스가 이의를 제기하기 전까지, 1557년 독일 말부르크에서 출판된 한스 스타덴의 『진실한 이야기』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식인풍습에 대한 결정적인 증언으로 작용했다. 떠도는 소문을 기록한 것이 아닌, 9개월 동안 투피남바족의 포로로 지내면서 자신이 직접 목격한 것을 서술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스타덴의 수기를 바탕으로 제작된 두 편의 영화를 검토하고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브라질 모더니즘의 미학적·정치적 기반이 된 식인주의에 영감을 받아 1971년 넬슨 페레이라 두스상투스 감독이 만든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 Como era gostoso o meu frances>는 식인이 야만이라는 유럽인들의 관점을 뒤집어서, 오히려 식인을 축하하고 정체성화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해 통렬한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유럽인의 브라질 도착500주년을 맞아 제작된 루이스 알베르투 페레이라 감독의 <한스 스타덴 Hans Staden>(1999)은 원전에 충실하겠다는 감독의 의도대로 원주민들의 분장, 복장, 가옥, 풍습 등의 재현에서 스타덴의 수기를 성실하게 고증하고 있다. 물론 식인풍습의 재현 역시 원전에 묘사된 대로 많은시간을 할애하여 상세하게 재현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진실한 이야기』가 내포하고 있는 유럽중심적인 시각을 그대로 재생산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스타덴의 수기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진실성을 의심하고 있는 상황에서 브라질에서 제작된 영화가 오히려 유럽인의 텍스트를 비호하고 있는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Controversy over the historical practice of cannibalism by NativeAmericans is not limited to an anthropological issue. The cannibal discoursespread out among Europeans in the beginning of the conquest of America, asfor Europeans it became an excuse for the conquest and slavery of nativepeople, and for American Natives it was used to acknowledge their savageryand the reason for accepting the colonial domination. Especially Hans Staden’s1557 narrative of captivity with the cannibalistic Tupinamba of Brazil wasconsidered as an irrefutable evidence of cannibalism among American Nativesuntil the time when William Arens questioned the evidence by indicating theWestern obsession with cannibals in 1979. This article examines two versions ofcinematographic representation of Staden’s account. Nelson PereiraDos Santos’film, Como era gostoso omeu francês (HowTastywasmy Little Frenchman) (1971),which incorporated the late 1960’s tropicália aesthetic into a cinematographicidiom, presented scenes where an European captive finally finished to be eaten.
    As a liberal adaptation of Staden’s True Story, it adduces an anthropophagiccritique of European colonialism. In Luiz Alberto Pereira’s film, Hans Staden,although the director declared that he tried to remain as faithful as possible tothe original text, the ingenuous intention in fact results in ignoring ideologicalfilters and allegorical homiletic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Christiansuperiority. As a result, the film’s message reproduces conventional andEurocentric perspectives of Hans Staden’s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