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현황을 통해 본 지역 문화의 가능성-경북 지역 <원이엄마>, <덴동어미화전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Regional Culture through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Focusing on the cases of cultural contents of Won-e Eomma and Dendong-Eomi Hwajeon-ga in Gyeongbuk p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1
30P 미리보기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현황을 통해 본 지역 문화의 가능성-경북 지역 &lt;원이엄마&gt;, &lt;덴동어미화전가&gt;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5호 / 103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윤희

    초록

    본 연구는 경북 지역의 고전문학 작품들 중 비교적 활발하게 문화콘텐츠로 제작되고 있는 <원이엄마>와 <덴동어미화전가>의 사례에 주목하여 고전문학과 지역 문화의 현재와 발전적 가능성에 대한 고민해 본 것이다.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국문학계의 연구 성과와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화된 사례의 간극은 매우 크며 이는 국문학과 문화콘텐츠학의 평행선이 지속되거나 국문학이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로 개편되고 있는 등의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다.
    특히 최근 지역마다 관광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지역 문화콘텐츠물이 범람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전문학 작품들이 원천 자료나 소재로 기능하는 사례들이 많이 발견된다. 많은 사람들은 문화콘텐츠화된 자료를 통해 지역 문화와 먼저 접속하고 이후에 그 자료들이 고전문학과 연계되어 있음을 알게 되어 지역의 문화가 새롭게 주목받기도 한다. 근대 이후 지역성이 자연과 전통에 의해 결정되었다면 근래에 와서는 자본주의와 정치 제도에 의해 좌우되고 나아가 미디어나 공연물 등과 같은 대중문화가 지역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지역 문화의 발전적 가능성 속에서 고전문학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재고하게 하고 나아가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화 되는 과정과 결과물을 학계에서 어떻게 수용하는가의 문제도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양질의 고전문학 작품들이 보다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물로 제작되는 현상도 바람직하고 고전문학 자료가 지닌 심미적 가치와 역사․문화적 토대를 해명하기 위한 연구도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이러한 양자 사이의 접점보다 거리가 큰 것이 사실이며 그 거리는 어느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한지, 조우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지 등의 문제가 진지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경북 지역의 두 사례는 이러한 문제의 필요성과 한계, 가능성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지역 문화의 가치가 더 이상 고유성이나 독창성, 역사성에서만 확인되는 것이 아니라 문화콘텐츠화된 자료들이 지역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기능하면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확산되는 유동성과 복수적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국문학계에서도 이러한 현황은 물론 발전적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원이엄마>와 <덴동어미화전가>를 통해 춤극이나 마당극과 같은 공연 문화 속에서 고전문학이 단순한 재료나 소재로 치부되는 것이 아니라 자료가 지닌 심미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의미도 반영될 수 있게 하는 방안과 그 필요성을 제기해 보았다.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화된 사례를이 고전문학에 대한 심미적 체험은 물론 지역의 역사 문화적 토양을 발견하거나 재인식 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매개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국문학계의 관심과 고민이 지속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s of Won-e Eomma (literally, Mother Won-e) and Dendong-Eomi Hwajeon-ga (literally, Song of the Mother of a Burned Boy at the Flower Festival), which are being actively produced as cultural content within classical literature in Gyeongbuk province, because they seem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gionality” or “cultural archetype.” The two cases show the following: While in modern times, regionality was determined by nature and tradition, today, it is governed by capitalism and political institutions. Furthermore, media and popular cul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regionality, suggesting space is being partitioned anew. In this process, people first encounter materials that have become cultural content through media and popular culture, and then learn that these materials are connected to classical literature. Thus, they come to wonder about the region’s characteristics. This trend is also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secure a comprehensive view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is ideal that high-quality classical literature is produced as cultural content accessible to many.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s and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re significant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large gap, rather than a contact point, between the two in Korea’s current situ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at the appropriate gap between the two is and how their encounters can be facilitated. It is also necessary to continuously shed light on the aesthetic,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nd meaning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rather than to regard classical literature as simple material for performing arts such as dancing drama and Madanggeu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