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 시 잡지『國民詩歌』의 위상과 가치 (1) -잡지의 체제와 성격, 그리고 출판 이데올로그들- (A Study on Kokuminsika (1))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5
52P 미리보기
일제 말 시 잡지『國民詩歌』의 위상과 가치 (1) -잡지의 체제와 성격, 그리고 출판 이데올로그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14호 / 515 ~ 566페이지
    · 저자명 : 최현식

    초록

    본고는『國民詩歌』의 성격과 체제, 그리고 출판과 관련된 이데올로그들의 이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國民詩歌』는 재조선일본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발간되고 향유된 까닭에, 잡지의 보존과 연구에서 모두 소외되었다. 그러나 『國民詩歌』는 일제의 지배정책 변화, 그러니까 ‘내선융화’에서 ‘내선일체’로 변화해가는 계기와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國民詩歌』의 주요 관계자들은 1920년대 중반 조선민요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것의 민족성과 향토성에 주목했다. 물론 일본민요와 만요슈(萬葉集)의 미학적․사상적 우위를 전제한 것이지만, 그래도 조선문화의 독창성과 민중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들은 1940년을 전후해 일제의 ‘신체제론’과 ‘대동아공영권’ 건설, 그것의 이념적 지주로서 ‘천황귀일론’을 적극 수용하기에 이른다. 조선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인하고 일본으로의 무조건적 통합을 주창하는 ‘내선일체’의 이데올로그로 변신하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國民詩歌』의 탄생과 성장에 얽힌 사항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자료의 발굴과 소개를 겸하여 『國民詩歌』의 체제와 성격 등을 서지 사항과 텍스트의 구성 등을 통해 규명하였다. 둘째, 『國民詩歌』를 창간한 주요인물의 조선에서의 행적, 이를테면 민요연구와 단카회(短歌會)의 결사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장르와 사상에서 그 차이가 엄존했던 사토 키요시와 스기모토 나가오 등 『국민문학』에서 활약한 시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위치와 역할을 객관화했다. 셋째, 『國民詩歌』 편집자와 이광수의 오랜 인연을 추적하는 한편 그가『國民詩歌』에 발표한 4편의 시를 확인하여 전문을 제시했다. 또한 현대시를 주로 다룬 『국민시인』과 『國民詩歌』의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서정주의 협력문학에 대한 기억을 수정․보완할 구체적 물증을 확보하는 문학사적 성과도 거두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eals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magazine Kokuminsika and the ideas of the ideologues involved in its publication. Since Kokuminsika was published and enjoyed by Japanese writers residing in Joseon, it was alienated from both preservation and research on the magazine. However, Kokuminsika reflects changes in Japanese domination policies, and the beginning and process of change from the ‘assimilation of Korea to Japan’ to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The persons involved in Kokuminsika had an interest in the folksongs of Joseon in the mid-1920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ethnicity and locality of their origin. Of course, they set forth the aesthetic and ideological superiority of Japanese folksongs and Manyoshu as a premise, but they admitted the originality and pop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However, they came to embrace a ‘new-system theory’ and the construction of a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of Imperialist Japan, and the ‘theory of Japanese emperor’s subjects’ as the publication’s ideological underpinnings around 1940, that is, they were transformed into ideologues of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who denied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Joseon and advocated unconditional integration into Japan.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the birth and growth of Kokuminsika from three aspects. First, it identifies the system and nature of Kokuminsika through bibliography and text configuration, along with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relevant materials. Second, the records of the major Joseon figures that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Kokuminsika were investigated through research on folksongs and the association process of ‘Tanka-hoe’, and their positions and roles were objec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genres and ideas with those of poets such as Sato Kiyoshi and Sugimoto Nagao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Kookmin Munhak. Third, it tracks of the long-lasting ties between editors of Kokuminsika and Lee Kwang-Soo, and adds a brief introduction to four poems published in Kokuminsika. Lastly, unexpected results, including a modification and complement to Seo Jung-ju’s memory were obtained through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kuminsika and Kookmin Shi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