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기토 혹은 코기토주의-메를로-퐁티의 데까르뜨 비판에 의거해서 (Cogito or cogitoism-In Light of Merleau-Ponty's criticism of Descart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코기토 혹은 코기토주의-메를로-퐁티의 데까르뜨 비판에 의거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71권 / 4호 / 135 ~ 160페이지
    · 저자명 : 원승룡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는 데카르트적-관념론적 코기토주의의 근본 사상을 비판하는 것이다. 1. X에 대한 의식(봄)이 있다. 2. 봄(voir)은 봄에 대한 사고함이다. 3. 사고하는 나와 사고되는 대상(관념)은 분리된다. 4. 사고하는 나는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존재한다. 5. 사고하는 나에 대해 명증적으로 사고되는 X는 절대적으로 참이다.
    데카르트에서 단순한 ‘봄’은 전혀 명석하지 않은 의식으로서 사실상 아예 의식(정신적인)의 영역에서 배제되어 버리고, 참된 의식이란 명석하게 의식하는 자(정신)와 그 대상인 관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미 눈앞의 세계, 현상하는 세계는 단순한 ‘봄-의식’과 함께 사라져 버린다. 칸트 역시 우리는 봄에서 아무런 인식도 할 수 없으며 오직 사고가 사물 속에 집어넣은 것만을 사물에서 인식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모두 ‘봄’을 ‘봄에 대한 사고’로 바꾸어 놓고 ‘봄’의 진정한 의미를 왜곡한다. 봄은 멍청한 의식으로서 단순한 생리적인 기관 작동이 아니라 행동하는 순간마다 세계가 의미로 충만하도록 만든다. 봄은 사고를 기다리지 않고 자신에게 나타나는 현상들의 (형태적) 의미를 실현시킨다.
    데카르트는 진리/오류의 원인을 관념의 실재성에 둠으로써 실재적 관념의 자기 투명성을 강조한다. 나의 소유물들, 관념들의 절대성은 사실상 그것을 소유하고 사고하는 나 자신의 절대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코기토는 의식의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아가 절대적 기반이라는 코기토주의로 발전한다. 그러나 진리의 체험으로서의 명증성은 궁극적으로 오직 대상과의 직접적 대면인 지각에만 있다. 물론 진리가 거절될 수 없는 것처럼 주체도 거절될 수 없다. 다만 그 주체는 일반화된 생각의 주체가 아니라 실존하는 주체에서만 진정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진정한 코기토는 ‘사고하는 나’가 아니라 상황 속에서 세계와 교섭하며 ‘행동하는 나’일 것이다. 그 주체는 한시도 상황을 벗어날 수 없는, 사건과 시간에 얽매인 주체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tends to criticize fundamental ideas of cartesian -idealistic Cogitoism. Such can be as following summarized. 1. There is a consciousness for X(Seeing, Voir). 2. Voir is a thinking for voir. 3. 'Thinking I' and 'thought object' are divided. 4. 'Thinking I' exists absolutely. 5. Unmistakably thought X for me is absolutely true.
    In Descartes, mere 'voir' is in fact excluded in the mental sphere as a non-obvious consciousness, and true consciousness consists of the subject who perceives clearly, and ideas of its object. Here anteorbital-phenomenal world would just appear with simple 'voir-consciousness'. Kant also thinks that we cannot perceive anything in voir and we can recognize only the thing which we had dipped into in the thing before through thought. Both of them change every 'voir' into 'thought for voir' and distort true meaning of 'voir'. 'Voir' is not just a operation of physiological organ as stupid consciousness, but that makes our world meaningful every moment instead.
    That we think ourselves as transparent object is a dogmatic belief of reflective thinkig. The absoluteness of our possessions and ideas are actually based on the absoluteness of myself that meditate and own it. In this way, because of the only reason why the cogito is undeniable fact of consciouness, it develops into cogitoism that believes absolute fundament of ego. Undoubtedly as an absolute truth cannot be rejected as well as the subject cannot be. But true subject obtains real meaning only as a existential subject, not a subject of general thought. The real(true) cogito is 'conducting(engaging) I' in negotiating with the world corresponding to circumstances. Such a subject is bound to an incident and time, it can not transcend and nor escape our worldly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