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이스라엘의 신전매음 제도와‘커데샤’와 ‘카데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ltic Prostitution in Ancient Israel and of Qǝḏēšâ(hv'deq.) and Qāḏēš(vdeq'))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9
48P 미리보기
고대 이스라엘의 신전매음 제도와‘커데샤’와 ‘카데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02호 / 2 ~ 49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본고는 고대 이스라엘의 신전매음 제도와 신전창녀와 신전남창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신전매음 제도의 문헌적인 증거로 제시되는 성경 구절들을 검토한다. ‘신전창녀’로 번역되는 커데샤(hv'deq.)가 언급되는 구절은 창세 38,21-22; 신명 23,18; 호세 4,14이고, ‘신전남창’으로 번역되는 카데쉬(vdeq')가 언급되는 구절은 신명 23,18; 1열왕 14,24; 15,12; 22,47; 2열왕 23,7; 욥 36,14이다. 먼저 커데샤와 관련된 본문들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세 38,21-22의 커데샤는 너울을 쓰고 길가에 앉아 있던 여인을 가리키며, 이 여인은 매춘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매춘의 목적이 풍산이나 신전의 수입에 관련된 것인지는 본문에 드러나지 않는다. 둘째, 신명 23,18에 언급된 커데샤는 불법적인 존재로 규정되지만 이 금지 규정이 신전매음과 연관성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호세 4,14의 커데샤는 불법적인 제의와 연관된 여성 제의 종사자로 추정되지만 매춘과의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다.
    카데쉬에 관한 본문들 중에서 신명 23,18은 이스라엘에 카데쉬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금지 규정이다. 1열왕 14,24에서 카데쉬는 르하브암 때 행해진 우상숭배의 일부로 언급되며, 산당과 기념기둥, 아세라 제의와 연관된 제의 종사자였을 것으로 보인다. 아사와 여호사팟, 그리고 요시야 임금은 각각 이들의 존재를 제거하였다(참조: 1열왕 15,12; 22,47; 2열왕 23,7). 이 모든 본문들은 신명기계 역사가가 카데쉬의 존재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사실을 드러내지만 이들과 신전매음과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커데샤와 카데쉬가 언급된 모든 본문들은 고대 이스라엘에 신전매음 제도가 있었으며, 그들이 신전창녀, 신전남창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만한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두 단어를 신전창녀와 신전남창으로 번역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 두 단어를 번역하지 말고 히브리어를 그대로 음역하거나 포괄적으로 ‘지방 성소에 바쳐진 자’, 혹은 ‘이방 제의 종사자’ 정도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cultic prostitution in Ancient Israel and to identify what roles qǝḏēšâ and qāḏēš played in it. The following biblical passages are often quoted as evidence of cultic prostitution in Ancient Israel: The passages containing the word of qǝḏēšâ: Gen 38:21-22; Deut 23:18; Hos 4:14 and the passages including the word of qāḏēš: Deut 23:18; 1 Kings 14:24; 15:12; 22:47; 2 Kings 23:7; and Job 36:14. These passages are to be analyz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y may present any clear evidence for cultic prostitution in Ancient Israel as has often been argued.
    The results of my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such. First, qǝḏēšâ in Gen 38:21-22 is identified as a woman wearing a veil sitting on the edge of a street, suggesting that she is available for prostitution. But the text does not give any hint that her role is related to a fertilty cult or that her earnings may go into the temple revenue. Second, Deut 23:18 defines the presence of qǝḏēšâ as illegal, but it is not clear at all whether its prohibition may have any connection with cultic prostitution. Third, qǝḏēšâ in Hos 4:14 is likely to be a female cultic personnel involved in an unlawful cult, but her relatedness to prostitution seems not to be so obvious.
    Among the texts including the word qāḏēš, Deut 23:18 prescribes that no Israelite should be qāḏēš. But the reason for such prescription is not presented. In 1 Kings 14:24, qāḏēš is considered as a part of idolatrous practices which had been committed during the reign of King Rehoboam. Here, qāḏēš seems to be a cultic person involved with high places, sacred pillars and Asherah poles. Qāḏēš was banished from the land by King Asa (1 Kigns 15:12) and King Jehoshaphat (1 Kings 22:47) and from the Temple by King Josiah (2 Kings 23:7). All these four deuteronomistic texts reveal that the deuternomistic historian considered qāḏēš illegitimate, but do not suggest with any clarity its connection to cultic prostitution.
    In conclusion, all the texts that I have reffered to, do not give any decisive evidence of cultic prostitution practiced in Ancient Israel and neither do they provide any firm base for translating qǝḏēšâ as a female cultic prostitute and qāḏēš as a male cultic prostitute. Then, it is not reasonable to keep the traditional translations for these two words. Therefore I suggest that qǝḏēšâ and qāḏēš should be transliterated from the Hebrew words or each could be translated as a pagan cultic personnel or a shrine serv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