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끝나지 않은 윈윈 해답과 ‘파레토 덫’: 에스핑-안데르센의 '끝나지 않은 혁명'에 대한 비판 (Incomplete ‘Win-Win’ Solutions and the ‘Pareto trap’ : A Critical Review of Esping-Andersen’s The Incomplete Revolution: Adapting to Women’s New Role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2
18P 미리보기
끝나지 않은 윈윈 해답과 ‘파레토 덫’: 에스핑-안데르센의 '끝나지 않은 혁명'에 대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마르크스주의 연구 / 12권 / 1호 / 262 ~ 279페이지
    · 저자명 : 이건민

    초록

    본 서평에서는 『끝나지 않은 혁명』에서 제출된 에스핑-안데르센의 윈윈 해답과원칙을 그의 이전 저작들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하고 비판한다. 『복지 자본주의의세 가지 세계』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 그의 윈윈 틀은 『복지체제의 위기와 대응:포스트 산업경제의 사회적 토대』를 거쳐 『끝나지 않은 혁명』에 이르기까지 계속유지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그 원칙은 비록 양가성을 띄고 있기는 하지만,『끝나지 않은 혁명』에 이르러 롤스 원칙으로부터 파레토 원칙으로 그 주요 지반이넘어오게 되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아동에 대한 투자라는 그의 윈윈 해답의 약점과 한계를 매우 열악한 노동시장 여건, 아동기 교육의 제한적 효과, 미미한 분배개선효과 등과 관련하여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윈윈 틀, 특히 파레토 최적 및 균형이라는 틀 ―‘파레토 덫’ ―자체가 불평등과 노동 불안정성, 사회적 위험과 불확실성이 확대·심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조건 없는 기본소득, 보편적 복지정책, 임금주도 성장모형, ‘도시에 대한 권리’ 등의 새로운 상상력과 과감한 대안 제출을 체계적으로 배제한다는 점을 비판한다.

    영어초록

    The book review examines and criticizes the ‘win-win’ solution and principleof Esping-Andersen’s The Incomplete Revolution: Adapting to Women’s NewRoles, in relation to his former works. We can also find his ‘win-win’framework in his previous books ―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Social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etc. ― , but his ‘main’ ‘win-win’principle moved from Rawls to Pareto principle in The Incomplete Revolution.
    Although this movement was still incomplete and ambivalent, it is worthnoticing. Finally, I criticize his ‘win-win’ solution and framework in TheIncomplete Revolution respectively. On the one hand, I point out the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his ‘win-win’ solution ― investment in children― . On the other hand, I criticize his ‘win-win’ framework itself, especially thePareto optimum and equilibrium framework ― the ‘Pareto trap’ ― , because itcould systematically exclude new imaginations and bold alternatives, such asthe unconditional basic income, universalist welfare policies, the wage-ledgrowth model, the ‘right to the city’,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