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덧배기 춤 장단 연구 -쇠가락 중심으로- (A Study of Dutbaegi Chum-Jangdan ―Focused on the SoeGar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덧배기 춤 장단 연구 -쇠가락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미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족미학 / 11권 / 2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중수

    초록

    춤과 장단은 춤이 장단을 타기도하고 장단이 춤을 타고 노닐면서 서로 상호교호 적으로 굿판을 열어간다. 덧배기 춤은 부산․경남 일원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향토색이 짙은 춤이다. 덧배기 춤의 뜻은 거듭하여 콱 백이는 춤동작에 악귀에 탈난 것을 베어버린다는 구나의식을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남성적 건무의 성격이 강한 여러 유형의 배김사위는 덧배기 춤의 핵심이다.
    덧배기 춤 장단은 고대에서부터 민간인의 미적 삶속에서 생성과 변화를 거듭하면서 전승되어지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에 지속과 변화를 반복하면서 천부적 재능을 지닌 연주자들의 자유로운 미적 상상력이 발현되어 어림셈으로 빚어낸 리듬이 응축되어 하나의 형식으로 자리 잡아 지역의 짙은 향토색을 드러내고 있다. 덧배기 춤과 함께 형성된 장단 리듬은 매 박마다 3소박을 품고 있으며, 리듬비율은 2:1, 1:2를 기본으로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리듬비율을 지니며, 리듬정서에 따라 음양을 달리하는 리듬을 전개하고 있다.
    덧배기 춤 장단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엇박이라 할 수 있다. 엇박은 상대성을 지니고 있으며 악사와 춤꾼, 악사와 관중, 춤꾼과 관중 사이에 다층적 연관을 가지고 동시에 걸이를 하면서 굿판에 역동성을 주고 있다. 이러한 중층적 구조를 지닌 엇박은 리듬이 어긋나면서도 타고 노니는 과정에서 춤꾼에게 몸짓리듬 충동을 주고 관중에게는 청각적 리듬충동을 촉발한다.
    지역적 차이는 있지만 덧배기 춤 장단에서 굿거리장단은 기본가락-변주가락-달아 치는 가락-배김사위-배김사위풀기의 진행구조를 지니고 있다. 기본 가락은 구경꾼이 쉽게 리듬을 타면서 판붙임을 하도록 하며, 박수를 취거나 추임새를 하면서 굿판에 서서히 개입하도록 미적 동기를 부여한다. 변주가락은 엇박, 헤미올라, 복합유형을 통하여 규칙적인 박을 벗어나 불규칙적인 리듬으로 구경꾼을 은근히 뒤 흔들기도 하고, 이내 규칙적인 리듬타기를 반복한다. 달아 치는 가락은 휘몰아치면서 신명의 고조에 이르게 하며, 배김사위는 갈무리를 함과 동시에 툭 털어버리면서 무언가 떨쳐내며, 신명풀이를 통하여 삶에서 응어리진 것들을 씻어내고 있다. 배김사위풀기에서는 씻김 후에 오는 허전함을 간직한 채 새로운 에너지를 받아들여 밝은 기운으로 다시 기본 가락으로 회귀하여 맺거나 반복하여 순환으로 이어지게 한다. 달리 의미를 부여하자면 판붙임-뒤흔듦-신오름-씻김-밝은 기운의 생성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덧배기 춤 장단은 춤의 진행구조에 따라 장단을 달리하고 있다. 춤이 맺고 풂의 원리에 따라 다양한 춤사위를 전개하고 있다면, 장단은 이에 부응하여 장단의 리듬구조를 진행시키고 있다. 멋의 초월적 경지에 이른 연주자가 마음으로 빚어내는 덧배기 춤 장단은 신명으로 비정상적인 것을 물리쳐 씻어내고 상생의 기운을 맞이하는 굿판의 원동력이 된다. 이는 삶의 엇박을 타고 참여한 굿판에서 연희자나 구경꾼이 집단적으로 신명에 이르러 삶의 아픔을 치유하고, 일상으로 회귀하였을 때 새로운 생명에너지로 이어지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영어초록

    Chum and Jangdan interchange each other and proceed the Gut Pan. Sometimes Chum plays on Jangdan, and sometimes Jangdan plays on Chum. Dutbaegi-Chum is an indigenous dance widely distributed around Busan and Kyungnam area. Examples of Dutbaegi are Dutbaegi-Chum distributed around Busan and Kyungnam area, Dutbaegi in masque play of Namsadang Nori, Dutbaegi-Jangdan in Jangdan pattern, Dutbaegi Play in Pungmul Gut, Dutbaegi Chum-Jangdan as an accompaniment of Dutbaegi-Chum, and so on. In Dutbaegi-Chum, dance move of tightly folding repeatedly has the meaning of cutting down trobles by demon.
    Dutbaegi Chum-Jangdan has its own distinctive rhythm based on each local area. Rhythm ratio of 2:1, 1:2, by default, has a variety of rhythmic proportions according to improvisation. There are various Jangdan structures having these rhythm ratio, and improvisation or BaegimSawi-Jangdan has much more complex structure.
    The most specific feature of the Dutbaegi Chum-Jangdan is Eotbak. Eotbak usually appears at the first small beat of the 2nd or 3rd beat and sometimes appears at the 1st beat in Gutgerijangdan. Sometimes, Eotbak is inserted lightly as an intermediate small beat inside a beat. Relativity of Eotbak, working between the ‘musician and dancer’, ‘musician and audience’, and ‘dancer and audience’ at the same time, grants dynamism to Gut Pan.
    Such Dutbaegi Chum-Jangdan seems to be generated and inherited inside the civilian's aesthetic life since the ancient times. Repeating ‘Continuity and Change’ for long time, it established itself in the form of one by condensing the creativity of the musicians with a fair and reveals a deep local colors of the region. Even though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Dutbaegi Chum-Jangdan mainly to Gutgerijangdan has, the framework of Gibongalag-Byeonjungalag-Dalachineungalag-Baegimsawi and can add a meaning of Panbutim- Dwiheundeulm-Sinoleum-Sitgim-Balgeungiun, etc.
    Dutbaegi Chum-Jangdan regards the role of the SangSoe as important. It’s rhythm generated heartily at Gutpan by performers in transcendent heights of Meot heals pain of life and leads to a new life energy when we return to an everyday life with a bright au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