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의 전략 (A Strategy for the Opposition Movement against Anti-Discrimination Law in the Post-Christian Er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12
39P 미리보기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의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말씀 / 28권 / 3호 / 283 ~ 321페이지
    · 저자명 : 장동민

    초록

    2020년 6월 “포괄적 차별금지법안”이 국회에 발의되었다. 이 법안의 ‘차별’에 해당하는 23가지 사유 가운데 문제가 되는 것은 ‘성별’, ‘성적 지향’, ‘성별정체성’ 등 성 정체성 관련 3가지다. 보수적 기독교계에서는 지속적으로 강한 반대의 목소리를 내었다. 이 법이 결국 LGBTQ를 장려하고 동성 간의 결혼을 인정하게 될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이 문제에 접근해야 할지를 다루려 한다. 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이 전략적 사고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현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이 기독교 국가(크리스텐덤)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세속화된 다원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은 어떻게 반(反)동성애 운동을 펼쳐나가야 할까? 첫째,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의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대한민국 헌법 20조 ②항은 국교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으므로, 종교적 신념을 강요하는 식으로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막을 수 없다. 오히려 헌법 20조 ①항의 “종교의 자유”에 근거하여, 차별금지법 때문에 기독교의 신앙, 예배, 신앙교육, 포교(布敎) 등이 위축되지 않도록 보호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예배와 설교, 재화·용역·시설 등의 공급이나 이용(특히 공공의 영역에서), 기독교 기관에서의 채용 문제,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내용 등에서 종교의 자유 등에서, 타협할 것은 타협하고 반대할 것은 반대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동시에 적극적으로 기독교인도 양심을 가진 한 시민으로서, 여러 종교 가운데 하나의 자격으로, 자신의 주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기관 등에서 반(反)동성애가 강요되어서도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기독교적 성(性) 개념이 공립학교에서 하나의 견해로서 가르쳐지는 것이 금지되어서도 안 된다.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가 연대해서 공립학교에서도 기독교의 목소리가 들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의 방식도 바꾸어야 한다. 미국에서의 복음주의 투쟁의 결과 정치적 방법으로 성 혁명의 물결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국민의 의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이 싫어하는 폭력과 혐오 조장의 방식은 역설적으로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을 증명할 뿐이다. 국민 대중에 호소하여 그들의 의식을 바꾸기 위하여서, 공론장에서의 합리적 설득의 과정과 세련된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중들이 가장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 즉,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여러 종교와 사상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기독교계뿐 아니라 다른 종교와도 연대하는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June 2020, “The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was submitted to the Korean Parliament. What came into question among 23 grounds for ‘discrimination’ are three, gender,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Korean Conservative Christians have raised a strong voice against the legislation from the first, since this law shall encourage the LGBTQ and eventually legalize a homosexual marriag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al with the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opposition movement of the Korean Christian’s against Anti-Discrimination Law. The most important social atmosphere which has to be seriously considered is the fact that Republic of Korea is not a Christian Nation. How do the Christians who live in the secularized and pluralistic society conduct a anti-gay campaign? First, the objectives of the opposition to the Anti-Discrimination Law. We Christians cannot stop the legislation by forcing Christian belief, since the Section 2 of the 20th Article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strictly bans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 Rather, we have to emphasize that Christian faith, worship service, Christian education and propagation should be protected on the basis of “freedom of religious exercises” according to the Section 1 of the 20th Article. We need to show the sense of discernment what to compromise with and what to oppose to, in religious practices, in provision and use of goods, services and facilities, in employment, an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Christian institutes. Also, more positively, we, as citizens with the freedom of conscience, can and must assert our rights. Anti-gay should not be forced violently at a public school, but, I believe, the Christian concept of sex and marriage, can and should be taught as a view.
    Second, the approach of the Anti-Discrimination Law. The way of struggle of the evangelical Christians in the United States was shown to be ineffective. They could not stop the billow of the sexual revolution by way of political campaign. Many efforts are needed to change the consciousness of people. We have to avoid violent words and instigation of hate, which ironically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the Anti-Discrimination Law. A rational persuasion in the public sphere and refined cultural approaches are needed in order that we appeal to ordinary citizens. Above all, we have to address with the most audible language, that is, practice of love. In addition, I propose to be in unity with other religions and social groups which agree with our cause. We, after all, live in a pluralistic, post-Christi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명과말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