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Ambivalence about American Valu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1950s -Focusing on Han Hyung-mo’s Woman’s Film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10
25P 미리보기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2호 / 509 ~ 533페이지
    · 저자명 : 김려실

    초록

    이 논문은 1950년대의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영화가 자유민주주주의라는 미국적인 가치를 어떻게 재현했는가를 한형모 프로덕션의 여성영화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한형모의 1950년대 영화는 이전의 한국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서구화된 생활양식과 소비문화, 선정적인 성 묘사를 스펙터클로 제공하는 한편, 자유민주주의와 서구화의 충격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전통으로의 회귀라는 양가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들 영화는 미국의 풍요와 근대성에 대한 선망을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동시에 그것이 가져올 기존 질서 파괴에 대한 잠재된 불안을 서구화된 여성을 가부장제의 울타리 안으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숨긴다. 그러나 근대여성을 ‘원시적 존재’의 자리로 배치하는 순간 그의 남성 프로타고니스트 역시 전근대적인 억압자로 되돌아가는 모순에 빠지고 전통과 근대가 조화된 새로운 주체의 생성은 미완의 과제가 되고 만다. 이러한 양가성은 한형모 영화의 한계나 모순으로 평가받기 쉬우나, 미국문화의 선택적 수용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1950년대 대중문화의 역동성/분열성을 해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how liberal democracy, an American value, was represented via film,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ss media of 1950s in Korea, focusing on woman’s films produced by Han Hyung-mo Production. On the one hand Han’s 50s films provide westernized life style and description of sexuality as a part of the spectacle never shown in Korean film before, but on the other they show ambivalent attitude: returning to the old tradition as a reaction against the shock of liberal democracy and westernization. His films overtly display the envy about the affluence and modernity of America, and dissimulate latent anxiety about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order by returning the modern woman back into patriarchal system. But at the instant that she is disposed for the location, primitive being, his protagonist should also return to the role of a premodern represser paradoxically and building a new subject who pursues the harmony between tradition with modernity remains as a problem that has yet to be fully solved. Such ambivalence can be easily underestimated as a limit or a contradiction of Han’s films, nevertheless, it can be a crucial clue to explain the dynamism/division of popular culture in the 1950s from the context of selective acceptance of America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