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성적인 덕에 관한 퓨전-철학적 고찰: 도덕적인 덕과의 관계와 통합적 지식 개념을 중심으로 (A Fusion-Philosophical Study Concerning Intellectual Virtue: Focused on the Relations with Moral Virtue and the Concept of Integrative Knowledg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지성적인 덕에 관한 퓨전-철학적 고찰: 도덕적인 덕과의 관계와 통합적 지식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01호 / 163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우형

    초록

    이 논문은 지성적인 덕의 함의는 무엇인지를 도덕적인 덕과의 관계와 지식 개념에 초점을 맞춰 해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 칸트와 주희의 견해를 ‘퓨전-철학’적으로 고찰하고, 이로부터 얻은 지적인 덕의 함의를 기초로 현대 덕-인식론의 지식 개념, 특히 자그젭스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적인 덕이란 성격적인 특징들 가운데 있지만, 그것들을 도덕적인 덕으로 만드는 선험적인 원리나 기준을 가졌다는 점에서 성품과 구분된다. 그것은 전체적으로 말해서 도덕적 덕과 일체를 이루지만, 인식론과 윤리학의 세부 맥락에서 말할 때는 도덕적인 덕과 구분된다. 지적인 덕은 그와 같은 선험적인 원리에 의거하여 우연적인 사태들에서 필연성을 도출해 내는 도덕적 성품이다. 지식은 “지적인 덕의 선험적 원리에 의거한 행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개념은 자연학과 인문학을 포괄하는 성격을 지니며, 지적인 덕에 대한 탐구로서 덕-인식론은 윤리학과 통합된 하나의 규범적 학문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닌다. 덕-인식론은 앞으로 동서양 철학전통 가운데 특히 주희와 칸트로부터 통찰을 이끌어낼 때 보다 더 바람직하고 풍성한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elucidate the implication of intellectual virtue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moral virtues and the concept of integrative knowledge. For this aim, I tried to examine the related thoughts of Aristotle, Mencius, Kant, and Zhu Xi using "fusion-philosophical" method. Also I critically reviewed the two prominent theories of knowledge in contemporary virtue epistemology, especially Zagzebski's,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 of intellectual virtue gained from historical study, and I tried to propose an alternative. While intellectual virtue is included in character traits, it is distinct from them in that it has the a priori principle or criterion which makes dispositions moral. Comprehensively speaking, intellectual virtue as a whole is unified with moral virtues. On the other hand, speaking in the particular context of epistemology and ethics, intellectual virtue is differentiated from moral virtues. Intellectual virtue is the moral disposition which deduces necessity from accidental phenomena on the ground of such an a priori principle. Knowledge can be defined as "the act of intellectual virtue in accordance with an a priori principle." This conception of knowledge has the characteristic to include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and virtue epistemology as an inquiry into intellectual virtue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one normative study integrated with ethics. When we want to gain the insights from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East and West, especially from Zhu Xi and Kant, virtue epistemology would be able to produce desirable and abundant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