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22년 北京 會同館의 對朝鮮 門禁 조치와 그 배경 - 正德帝 遺産의 정리와 관련하여 - (The Strict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and its Backgroun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2
28P 미리보기
1522년 北京 會同館의 對朝鮮 門禁 조치와 그 배경 - 正德帝 遺産의 정리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91호 / 185 ~ 212페이지
    · 저자명 : 조영헌

    초록

    본 논문은 1522년 朝鮮 사신에 대한 會同館의 門禁 조치가 이루어진 이유를 明朝의 입장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1522년 명이 조선 사신에 대해서 회동관의 문금 조치, 즉 출입제한조치를 시행하자 조선에서는 이를 해제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면서 문금의 요인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조선에서 파악한 문금의 요인은 크게 조선 요인설과 명 관료 요인설 두 가지로 요약이 가능하다. 1522년에 通事 金利錫이 명 상인을 통해 『大明一統志』를 구매한 것은 전자에 해당하고, 이를 적발하고 문금 조치를 단행한 禮部郎中 孫存은 후자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왜 1522년에 문금 조치가 시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모호한 부분이 남아 있었다. 본고는 그 해석의 실마리를 문금 직전, 즉 1521년부터 회동관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과 사신들의 출입 통제가 강화되고 있는 명조 내부의 국면 전환에서 찾았다. 1521년은 正德帝가 사망하고 嘉靖帝가 즉위했던 해였다. 정덕제의 치세 말기에 해이해진 회동관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한 가정제 즉위 초반 개혁 드라이브는 우선적으로 이러한 문란함을 야기했던 정덕제의 유산을 정리하는 작업에 집중되었다. 그 핵심에는 회동관에 3∼4년이나 머물며 사사로이 회동관을 출입했던 사이드 후세인(寫亦虎仙)이 있었다. 그는 哈密에서 온 回回人 수령으로, 정덕제의 총애를 받아 회동관에 장기간 머물렀다. 1520년에는 포르투갈에서 온 20여 명의 사절단과 통역인 亞三까지 회동관에 합류하여 기강이 더욱 문란해졌다.
    비정상적인 운영으로 말미암아 해이해진 회동관의 기강은 1521년 정덕제의 죽음과 함께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가정제의 즉위와 함께 사이드 후세인과 亞三이 체포되어 죽음을 맞이하였고, 회동관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 작업과 단속 강화가 이루어졌다. 1522년 조선에 대한 회동관의 문금 조치는 이러한 상황 변화 속에서 발생했다. 요컨대, 조선 사행단에 대한 회동관 문금 조치는 가정제의 등극과 함께 정덕제의 유산을 정리하는 정치적 전환기의 한 소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out why the strick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會同館) in Beijing was imposed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g Court(明朝). In 1522, the Ming court imposed the strict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In response to this matter, Joseon envoys tried to lift such restrictions, and meanwhile, a heated debate about the causing factors was ongoing in Joseon court. Joseon assumed that there were two main reasons that caused such circumstances. One was a Joseon’s envoy, Kim Yiseok(金利錫), who bought a book called Unity gazetteer of the Great Ming dynasty(『大明一統志』) from Ming merchant, and the other one was a Ming’s bureaucrat, Suncun(孫存), who detected such unauthorized trade and enforced the strict access control of Huitongguan.
    However, even with such an explanation, the question of why Ming imposed the strict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still remains ambiguous. This paper found a clue to a rich interpretation of this problem from the changes of Ming’s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that a sweeping crackdown and a tighten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was launched in 1521. In 1521, the Zhengde emperor deceased and the Jiajing emperor ascend the throne. Soon after the Jiajing emperor was enthroned, his reform drive was mainly focused on dealing with a bequest of the later years of the Zhengde emperor, which caused slackened discipline of Huitongguan. At the center of such reform, the target was Sa'id Husein(寫亦虎仙), who stayed in Huitongguan for 3~4 years and had been in and out freely while his staying. He was the chief of Huihuiren(回回人) from Hami(哈密), and got permitted to stay in Huitongguan for a long-term under the Zhengde emperor’s favor. In 1520, more than 20 delegates of Portugal envoys and their translator Yasan(亞三) was arrived in Huitongguan, which caused even more untidy management of Huitongguan.
    Abnormal administration that caused the slackened discipline of Huitongguan faced a totally new situation in 1521 as the Zhengde emperor passed away. As the Jiajing emperor was enthroned, Sa'id Husein and Yasan got arrested and executed. Also, the sweeping crackdown and the tighten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was launched. In such a context, the strick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會同館) in Beijing was imposed toward Joseon envoys in 1522. In sum, the strick access control measure of Huitongguan toward Joseon envoys was the outcome of the political transition from the Zhengde emperor to the Jiajing emperor. Such restriction should be seen as a part of the Jiajing emperor’s reform drive that deals with the bequest of the later years of the Zhengde emper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