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靑莊館全書』 및 其他 李德懋 著作에 대한 文獻學的 再檢討 (Philological Reexamination of Lee Deok-mu’s Writing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10
28P 미리보기
『靑莊館全書』 및 其他 李德懋 著作에 대한 文獻學的 再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17권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본고는 李德懋의 저작에 대한 문헌학적 접근이 보다 세밀히 이루어져야 함을 논한 것이다. 우선 ‘靑莊館全書’(全71권32책)의 편찬과 그 일실 부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촉구하였다.
    현존 ‘청장관전서’는 71권32책 중 16권8책이 缺되었는데 민족문화추진회의 『국역 청장관전서』에는 그 산문의 缺 부분을 『刊本 雅亭遺稿』로 보충해 넣음으로써 연구자들의 오해를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이덕무의 경우 急死하였고, 아들 李光葵는 부친의 저작을 刪削을 피한 채 최대한 모아놓았다. 요컨대 李書九나 柳得恭처럼 만년에 본인 스스로 젊은 날의 저작에 대한 刪削-自己檢閱의 과정이 없었던 것이다. ‘청장관전서’의 애초 缺 부분에 어떤 작품이 수록되었었는지는 정확히 考究할 수 없다. 따라서 특정 작품을 두고 “이는 이덕무 본인에 의한 刪削” 云云의 주장들은 수정되어야 한다.
    ‘청장관전서’의 일반 산문 한 책과 편지(書) 한 책은 일실되었다. 『간본 아정유고』는 당연히 選하여 실은 것이기에 이덕무 작품의 逸文 蒐集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邊逸民詩集跋」, 「適言讚(幷序)」, 「蘚書齋詩集序」, 「與人」을 그 逸文으로 소개하였다.
    『淸脾錄』은 판본 문제가 가장 복잡한 자료다. 1778년 봄 1차 완성본, 이서구의 산정본, 潘庭均 및 李調元의 산정본, 이조원의 『續函海』 편입 간본, 이덕무의 수정 가필본, 이광규의 ‘청장관전서’ 정리시 산정본이 그것이다. 1801년 『속함해』로 간행된 小型板本 이전에 『函海』에 수록된 일반판형본이 있었다는 李圭景의 글(『五洲衍文長箋散稿』 ‘淸脾錄大小刻本辨證說’ 및 『詩家點燈』 ‘청비록’조)은 이규경이 자료를 오독하여 오해한 것이다. ‘함해본(일반판형본)’은 애초에 있지 않았다. 이규경의 위 자료로 인해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이 그 오류를 답습하고 있다. 18세기 후반 한중일 삼국에서 『청비록』이 차지하는 비평사적, 문학교류사적 의의는 대단하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철저한 異本 연구부터 다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역 청장관전서』의 『청비록』은 텍스트의 선정, 교주 및 번역의 오류가 매우 많다. 재번역이 시급히 요구된다.
    최근 비평가로서의 이덕무의 면모를 알리는 자료와 연구들이 많이 나왔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처 정리하지 못하였다. 후고를 기약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philological reexamination of Lee Deok-mu’s writings. And the major issues of this paper are like following.
















    ① We should examine thoroughly about the work of publishing Chungjangkwan Jeonseo. We also need to identify the omitted part from the complete edition.
    ② Maybe Ajeong Yogo originally was a part of Chungjangkwan Jeonseo. However later researchers mistake it for published version of Ajeong Yugo. This is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 And we can’t regard it as a intended modification by Lee Deok-mu. Then we need to collect the omitted part.
    ③ Cheongbirok also has complex issues about its system of editions. There exist six different versions like following. The first edition of 1778, edited version by Lee Seo-gu, edited version by Chinese scholar Pan Ting-jun and Li Diao-Yuan, included version in Hamhae by Li Diao-Yuan, revised version by Lee Deok-mu himself, and edited version by Lee Kwang-gyu. Though they say that there was a general edition in Hamhae, it is a total mistake by misreading materials. The general edition in Hamhae had never existed at first. Researchers repeat mistakes due to the misreading by Lee Kyu-kyung.
    ④ The meaning of Cheongbirok in the literary history is highly impressive.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it very closely.
    ⑤ We need to examine the aspect of Lee Deok-mu as a critic careful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many researches about Lee Deok-mu’s writings and his critics recently. We need to look those papers care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