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近代期 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latter part of Late Joseon Dynasty, 1834-1910)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06
21P 미리보기
近代期 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2호 / 11 ~ 31페이지
    · 저자명 : 이강근

    초록

    현존하는 창덕궁은 태종 5년(1405) 이래 600여 년 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기에 역사의 여러 층위를 담고 있다. 조선전기의 창덕궁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방화로 소실되어 흔적도 없이 사라졌기 때문에 건물과 시설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서 그 모습을 알 수 없다. 광해군 1년(1608년)에 재건된 창덕궁은 260년간 조선후기 왕조의 정궁 역할을 하면서 이궁인 경희궁과 함께 조선후기 왕조사의 중심 무대로 발전하였다. 1833년의 대화재로 내전 일곽이 전소되기는 하였지만 곧이은 복구공사로 대부분 회복되었다. 1867년에 경복궁 중건이 완료되고 高宗이 경복궁으로 이어하면서, 정궁으로서의 역할은 없어졌지만, 1896년 아관파천으로 경운궁이 새로운 왕궁으로 활용되기 전까지는 경복궁과 더불어 이궁으로서 양궐체재의 한 축을 이루며 운영되었다.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혁명 등 국내적 혼란과 청일전쟁으로 대표되는 대외적 혼란 사이에서 왕궁의 정상적인 운영은 점점 어려워져 갔다. 이런 와중에 연경당이 새롭게 지어지고 함녕전으로 개칭된 수정전의 일곽에 동, 남, 북 세 별당이 세워지는 등 새로운 모색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와 더불어 창덕궁의 중희당과 집옥재를 경복궁으로 이건해야 하는 일도 벌어졌다. 그렇지만 1903년의 수리계획 문서를 보면 그때까지 창덕궁은 대체로 제 모습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07년에 순종이 즉위하고 나서 순종의 이어처로 결정되면서, 창덕궁은 일제 통감부의 치밀한 계획 아래 일본인의 손으로 철거, 훼손, 개조되었으며, 궁역 가운데 창경궁과 후원은 모두 일반에게 개방되는 동물원․식물원․박물원과 공원으로 전락하였다. 나라를 잏은 황제는 나인 6명의 보살핌을 받는 나약한 존재로 전락하였으며, 그가 독차지할 수 있는 영역 또한 창덕궁내의 지극히 좁은 영역으로 한정되었다.
    인정전 영역은 알현소로 개조되어 정치적 역할을 완전히 잃은 사적 공간으로 변질되었으며, 인정전 둘레의 행각은 왕실의 행사장으로 사용하기 좋도록 완전히 다시 지어졌다. 인정전과 편전인 선정전 사이의 연결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으며, 오로지 침전과의 연결을 위하여 일본식 편복도가 첨설되었다. 정치를 보좌하던 궐내각사는 모두 헐리고 그 대신에 궁내부청사가 세워져 순종 황실의 사무를 처리하였다. 1907년부터 1910년 사이에 벌어진 끔찍한 변화의 모습은 아직도 치유되지 않은 채로 창덕궁 곳곳에 남아 있다. 이러한 흔적을 지우지 않고는 창덕궁의 온전한 회복을 말할 수 없다.

    영어초록

    In this essay, I study about the architectural change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2nd latter part of Late Joseon Dynasty, 1834~1910(from the King Heonjong to King Sunjong) There are three main texts in studying Changdeokgung Palace. The first text is Dongkwoldo(東闕圖) pictured in 1928-1930, the second text is Gungkwolji(宮闕志) written in 1834-1846, the last one is Dongkwoldohyung(東闕圖形) drawn in 1907-1910. We don’t know about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y, 1846-1907 because of lack of documents.
    This treatise is firstly focusing on the question why and when the architectural complex of Changdeokgung Palace was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changed. Second, this treatise is elucidating the cause of change in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Changdeokgung Palace in Sunjo’s reign, 1907-1910.
    The Nakseonjae, Seokbokheon was built by King Heonjong and Sukangjae was remolded by Him. This Nakseonjae comlex was a bedroom of King and his royal family. The Yeongyeongdang built by King Cheoljong or King Gojong is a Korean gentry’s house which totaled 99kan. King Gojong shifted Jungheedang and Jipokjae from Changdeokgung Palace to Gyungbokgung Palace in 1891. Jipokjae was a library collecting Chinese Books which has two stories.
    In 1896, King Gojong moved from Gyungbokgung Palace to Gyungungung Palace because of Japanese threat of death. But in 1903-1904 he hope moving from Gyungungung Palace to Changdeokgung Palace and made a detailed plans to repair all buildings and palace walls. In 1907 before King Sunjong’s moving from Gyungun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was remodeled and demolished by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