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의 덕 사상과 덕 철학의 접점 찾기 (A Comparative Study on Virtue between Apostle Paul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10
35P 미리보기
바울의 덕 사상과 덕 철학의 접점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9권 / 37 ~ 71페이지
    · 저자명 : 최승락

    초록

    오늘날 기이하게도 일반 사회 속에서는 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반면, 교회는 덕에 대해 대체로 무관심할 뿐만 아니라, 덕을 잃은 집단으로 매도되기도 한다. 사도 바울이 비록 덕(아레테)이라는 말을 빌립보서 4:8-9에서 단 한번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만, 바울의 전체 신학에 있어서 이 말의 비중은 대단히 높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이 본문에 대한 문법적, 역사적 연구를 먼저 시도하고, 특히바울이 당대의 철학적 사조 속에서 아레테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했는지를 주목해본다. 이어서 우리의 해석학적 관심을 발전시켜 현대 덕 철학의 대표자 중의 한 사람인 알라스데어 매킨타이어를 살펴보면서 그의 사상이 어떻게 철학과 신학과 윤리 속에 수용되고 있는지를 추적해본다. 이를 통해 한 면에서는 바울의 덕에 대한 가르침을 회복하는 길을 모색해보고, 또다른 한 면에서는 이 시대의 덕 담론을 철학 자체의 한계를 넘어 보다 통합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모색해본다.

    영어초록

    Apostle Paul explicitly uses the word of virtue (avreth,) only once in Philippians 4:8-9. The meaning of this wor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contemporary ordinary and philosophical uses, that is, the moral eminence. Though it seems that this word is not central in Paul’s teaching, it does not mean that we can ignore or make little use of it.
    Rather, we need to find the way to make best use of it especially in today’s world in which the issue of virtue is once again revived.
    For a hermeneutical dialogue on the issue of virtue, we take the philosophical approach of Alasdair MacIntyre. Interpreting Aristotle into today’s language, MacIntyre emphasizes the telos and narrative context of virtue-action. We assess his approach positively and negatively in comparison with Jürgen Habermas and Richard Rorty in the philosophical field, and also trace his influence on theological and ethical debates focusing especially on Stanley Hauerwas, N.T. Wright, and John Milbank.
    We try to revive the moral vision of Paul because it can gi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integrated life of new creation overcoming both the lack of metanarrative or metapractice of philosophy and the privatization of Christian faith ignoring its public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