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아바타의 설정 자유가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 이미지 걱정의 매개효과와 주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Metaverse Avatar Types and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image Concer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ystander Presence)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3
56P 미리보기
메타버스 아바타의 설정 자유가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 이미지 걱정의 매개효과와 주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41권 / 1호 / 87 ~ 142페이지
    · 저자명 : 임인재, 박윤정, 이세영, 금희조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아바타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이용자의행동의도가 달라지는지 조사하고,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심리적인 기제를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바타 설정 자유(선택 vs. 비(非)선택)에 따라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예, 무례하고 혐오적인 댓글을 공유할 의도)가 달라지는지검증하였다. 그리고 아바타 설정 자유가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아 이미지에 대한 걱정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으며, 이와 함께 메타버스 속 주변인(bystander, 메타버스 환경에 존재하는 타인 아바타들)의 존재 유무가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게임 유니티(unity)를 기반으로 실험 조건에 맞는 총 4개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직접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N = 120). 구체적으로 아바타 설정 자유 2(선택 조건 vs. 비선택 조건)와 주변인존재 유무 2(없음 vs. 있음) 등 집단 간 요인설계를 하여, 실험참여자들을 조건별 메타버스 플랫폼에 무작위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대해 아바타 설정의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아바타 설정 자유가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아이미지 걱정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특히 선택형 아바타는 자아 이미지걱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 자아 이미지 걱정은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함께 주변인의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변인이 없는 조건에서, 아바타가 자아 이미지 걱정을 매개로 하여 반시민적 댓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3차원 실감형미디어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아바타의 영향력과 그곳에서 작동하는 이용자의 심리적 기제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반시민적 행동의도를 감소시킬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vatar types on users’ intention for uncivil behavior,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t play in this process.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avatar types (customized avatars vs. non-customized avatars) on the metaverse platform lead to differential tendencies toward uncivil behavior, such as generating impolite or offensive comments and sharing negative content about others. Furthermore, we explored whether the mediating role of self-image concern comes into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types and uncivil behavior.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verse bystanders (avatars of other individuals within the metaverse) was investigated. To test hypotheses, we developed a dedicated metaverse platform and conducted an experiment (N = 120). Leveraging the Unity game engine, we constructed a total of four metaverse platforms to align with experimental conditions. A 2*2 factorial design was used for the experiment. Experimenta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ustomized avatar type×bystander absence condition, customized avatar type×bystander presence condition, non-customized avatar type×bystander absence condition, and non-customized avatar type×bystander presence conditi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different metaverse platform conditions and exposed to experimental stimuli before responding to key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avatar type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mage concer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types and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customized avatars exerted a negative impact on self-image concern, which subsequently negatively influenced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A deeper interpretation of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non-customized avatar type could amplify self-image concern, potentially resulting in reduced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bystander was also significant. In particular, within the condition where bystanders were absent, the path through which avatar types influenced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via self-image concer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customized avatar type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self-image concern, and in this process, self-image concern were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uncivil behavioral in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